박 위원장은 26일 YTN라디오 '뉴스킹 박지훈입니다'에 출연해 "586 세대는 우리 사회 민주화를 이끄는 역할 하셨다"면서도 "지금 가져갈 과제에 대해서는 2030이 의제를 주도적으로 이끌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런 길들을 586이 같이 자리 마련해주시면 좋겠다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남국 민주당 의원이 "명예퇴직도 예우가 필요하고 갑자기 나가는 건 폭력"이라고 비판한 데 대해 "조금 오해가 있었다"며 "저도 당연히 존중하고, 586 세대 중 존경할 분들 많다고 생각한다"고 해명했다.
이어 "민주화 운동 통해서 민주주의 성과 이룬 건 너무 존경하지만 모두가 다 그렇지는 않다고 생각한다"며 "민주당 변화를 만들어내야 하는데 그것을 어렵게 하는 부분도 있다. 시대와 발맞춰 나가는 게 필요한데 그게 어려운 분들도 있다"고 덧붙였다.

박지현 더불어민주당 공동비상대책위원장. 김성룡 기자
박 위원장은 "우리 당은 팬덤 정치와 결별하고 대중정치 회복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고, 나아가야할 길이라고 생각한다"며 "본인이 지지하는 정치인이라고 해도 그 사람이 잘못했을 때 문제제기하거나 지적할 수 있어야 하는데, 무작정 감싸기 되는 부분에 대해 문제 의식을 느꼈다"고 지적했다.
이어 "민주당에서 비대위원장을 하며 정말 많은 문자를 받았다. 그 문자를 하나둘 보다보면, 이게 그냥 비판이 아닌 맹목적 비난, 성희롱이 담겨 있는데 거기서 문제 의식 느꼈다"고 부연했다.
자신의 사과에 대해 당내 비판이 이어지는데 대해서도 박 위원장은 "당내 민주주의를, 내부 총질이라고 비난하는 거에 대한 아쉬움이 있다. 민주당의 개혁·쇄신에 저항하고 있는 것이라고 규정할 수도 있다"며 "의견 모아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하고 많이 소통할 수 있는 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응원 목소리도 많이 듣고 있어서 저는 괜찮다"고 말했다.
"최강욱, 필요하면 비상징계 활용할 것"
그러면서 "조속히 처리하고 넘어가야 할 문제를 지방선거 이후로 넘기는 것은 적절하지 못한 자세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전날 윤 위원장은 비상징계 권한을 발동해서라도 최 의원에 대한 징계 절차를 지방선거 전에 마무리하자는 박 위원장의 요구에 "윤리심판원에 징계 절차를 넘긴 것도 비대위 의결사항"이라며 사실상 거부 입장을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