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성열 마리오아울렛 회장(왼쪽)이 200여억원을 들여 문재인 등 전직 대통령 3명의 사저를 샀다. 홍 회장은 2016년 서강대에 30억원의 발전기금을 전달하기도 했다.
[안장원의 부동산 노트] 전직 대통령 사저 보유세
지난 2월 실거래가 28억원에 팔린 경남 양산시 매곡동 문 전 대통령 사저를 산 매수자가 홍 회장인 것으로 25일 등기부등본에 나타났다. 문 전 대통령은 이 집을 2008년 8억원에 샀었다. 홍 회장은 앞서 2017년 박 전 대통령 삼성동 사저를 매입했고, 지난해 8월엔 이 전 대통령의 논현동 사저를 공매에서 낙찰했다.
사저 3채 구입금액 207억원
홍 회장이 전 대통령 사저들에 지불한 금액이 후하다. 세 집을 사는 데 들인 돈이 총 207억600만원이다. 등기부등본에 담보대출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전액 현금으로 구입한 것으로 추정된다.

박근혜 전 대통령 삼성동 사저.
이 전 대통령 사저 절반 지분에 대해 홍 회장이 낙찰한 금액이 111억5600만원으로 감정가(111억2619만3000원)보다 3000만원가량 더 많았다. 응찰자가 홍 회장 혼자였다. 이 주택 전체의 올해 공시가가 126억3000만원이다. 절반이면 63억1500만원이다. 국토부는 올해 단독주택 현실화율을 57.9%라고 밝혔다. 현실화율로 역산한 절반 시세가 100억원이다.
이주현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사저 전체도 아니고 절반 지분만 공매에 나온 등의 이유로 홍 회장이 응찰하지 않았으면 쉽게 낙찰되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 전 대통령 매매가격은 공시가의 10배 정도나 된다. 올해 공시가가 2억9300만원이었다. 현실화율을 반영한 시세도 6억원이 안 되는 셈이다. 매입가 28억원은 시세의 5배 수준이다.

이명박 전 대통령 논현동 사저.
문 전 대통령 집을 제외하고 고가 주택들인 데다 다주택이어서 보유세(재산세+종부세)가 만만찮다. 올해 3채 공시가격 총액이 130억8600만원이다. 다주택자 공제금액 6억원을 뺀 과세표준이 124억8600만원이다. 종부세가 6억4000여만원이다. 재산세 4700여만원를 합친 보유세가 총 6억9000만원이다.
김종필 세무사는 "올해 문 전 대통령 사저만 공시가가 내리고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 사저는 10%가량 올랐다"며 "사저 3채의 과세표준이 94억원을 초과해 최고 세율 6%를 적용받는다"고 설명했다.
홍 회장 집 포함해 올해 총 공시가 158억원
더 있다. 홍 회장이 거주하는 집이다. 그는 여의도 초고층주상복합 아파트 꼭대기 층에 사는 것으로 등기부등본에 나온다. 2002년 구입해 21년째 살고 있다. 다른 집이 없다면 전직 대통령 사저들을 포함해 4주택자이고 총 공시가격이 157억8100만원이다. 보유세가 종부세 8억3000만원, 재산세 5600여만원 등 8억8000여만원에 달한다.

공시가
전직 대통령 사저 구입으로 여의도 아파트만 갖고 있는 것보다 공시가 총액이 5배가량 늘지만 종부세는 다주택자 중과 등의 영향으로 140여만원에서 8억3000만원으로 600배 가까이 급증한다.
홍 회장은 이미 전 대통령 사저 매입에 따른 취득세도 20억원 가까이 냈다. 2020년 다주택자 중과 도입으로 세율이 12%로 뛰어 이 전 대통령 사저 취득에 15억원, 문 전 대통령 사저를 사는 데 3억7000만원의 세금이 들어갔다. 다주택자 세금 '폭탄'을 홍 회장도 피하지 못하는 셈이다.
한 해에 웬만한 서울 집 한 채 값을 종부세로 내며 전직 대통령 사저들을 모은 홍 회장의 속내가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