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성일종 "임대주택서 정신질환자 많이 나와"…논란 되자 사과

 9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의힘 서울시당 6.1 지방선거 당선자 대회 및 워크숍에서 성일종 정책위의장이 강연하고 있다. 김경록 기자

9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의힘 서울시당 6.1 지방선거 당선자 대회 및 워크숍에서 성일종 정책위의장이 강연하고 있다. 김경록 기자

성일종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이 임대주택 관련 정책을 설명하면서 “임대주택에 못사는 사람들이 많다. 그래서 정신질환자들이 나온다”고 말해 논란이 불거졌다. 성 의장은 이에 “국가가 심리 케어를 제공해야 한다는 뜻이었다”며 진화에 나섰다.

성 의장은 9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서울시당 6·1 지방선거 당선자 대회 및 워크숍’ 특강을 통해 “임대주택을 지어 놓기는 했는데, 관리가 되지 않는다”고 임대주택 개선 필요성을 언급하는 과정에서 문제의 발언을 했다.

성 의장은 “임대주택 싱크대 20년에 한 번 바꾼다고 하고, 벽지 한 번 가는 데 10년씩 걸린다”며 “집에 들어오면 없는 사람들일수록 편안하고, 쉴 공간이라도 여유가 있어야 하고, 깨끗해야 할 거 아닌가”라고 꼬집었다.

이어 “임대주택에 그래서 정신질환자들이 나온다. 이거 방치할 수 없다. 사회 문제가 된다”며 “그래서 법을 개정해 동네 주치의 제도를 운영하든 해서 문제가 있는 사람 상담도 하고, 그분들을 격리하든지 이런 조치들을 사전적으로 하지 않으면 국가가 책임을 다했다고 볼 수 없다”고 강조했다.

성 의장은 특강이 끝난 뒤 ‘격리’ 표현에 대해 “저도 무심코 나왔는데 격리가 아니고 그분들 힘 보태드리고 상담도 해드리고 응원하는 격려하는, 그러한 동네 주치의 시스템 보강하자는 것”이라며 “어디로 보내거나 이런 개념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또 ‘정신질환자’ 표현과 관련해선 “표현을 잘못해서 그런 것 같은데 전혀 그런 뜻이 아니다”라며 “20년 정도를 주방 설비 쓰라고 하면 말이 되나, 그런 것들을 기간 낮춰서 하자 의미이고, 아파트가 밀집도가 높은데 거기 사시는 분들에 대한 여러 서비스를 국가가 법으로 바꿔서 지원하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성 의장은 “오해를 하셨다면 죄송하다”며 “입법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날 별도의 입장문을 내고 “임대주택 거주자분들이 느끼셨을 상심과 불편함에 대해서 진심으로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공식 사과했다.  

아울러 “본 발언은 임대주택의 열악한 거주환경을 설명하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스트레스에 대해서 국가가 심리 케어를 제공해야 한다는 입장을 설명하면서 나온 것임을 설명해 드린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