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기정 신임 공정거래위원장이 19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디지털 독과점 폐해, 적기에 차단”
한 위원장은 16일 취임식에서도 “지금의 디지털 경제에선 시장을 독과점한 사업자로 인한 폐해가 크고 회복은 어려워 적기에 이를 차단해 나가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자율규제를 추진하면서도 공정위가 제재 등 추가적 개입을 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친 것이다. 이날도 대형 플랫폼으로부터 중소기업과 소비자를 보호할 필요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물가 안정 측면에서의 공정위 역할도 강조했다. 한 위원장은 “물가상승을 야기하는 독과점 행위나 담합행위에 대해 공정위가 열심히 살펴보고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7%를 기록하는 등 고물가 기조가 이어지는 데 대해 공정위도 담합 조사 등으로 역할을 해야 한다는 뜻이다. 최근 중앙일보가 창간 57주년을 맞아 만18세 이상 1007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63.7%가 물가안정을 이번 정부 최우선 경제과제로 꼽았다.
기업집단 제도 유지…부담은 완화
다만 동일인(총수)을 지정해 책임을 묻는 제도 등 큰 틀에서 기업집단 정책이 바뀌진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경영계에서는 총수 지정 등이 외국엔 없는 한국만의 특수한 제도인 만큼 없앨 때가 됐다고 꾸준히 제기해왔다. 이에 대해 한 위원장은 “대기업집단 제도의 근본을 흔들 생각은 갖고 있지 않다”며 “지주회사를 비롯한 대기업정책에 관한 기조는 특별한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