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은 출산 가산점" 논란에…민주 김문수, 선대위 직책 사퇴

김문수 더불어민주당 의원. 페이스북 캡처

김문수 더불어민주당 의원. 페이스북 캡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의 ‘군 복무 경력 호봉 의무반영’ 공약을 두고 시민과 대화에서 “여성은 출산 가산점이 있을 것”이라고 답한 김문수 민주당 의원이 논란이 이어지자 중앙선거대책본부 직책에서 자진 사퇴하기로 했다. 

김 의원은 13일 정오쯤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사과문’에서 “최근 제 개인 메시지가 유출되며 많은 분들께 불편과 심려를 끼쳐드린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이어 “저의 개인적인 답변이었으나, 표현에 있어 부족함이 있었고 이로 인해 상처받으신 분들께 사과드린다”며 “정치인의 말은 사적이든 공적이든 늘 신중해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절감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번 일에 책임을 지고, 총괄선거대책본부에서 맡고 있던 직책을 내려놓겠다”고 했다. 그는 유세본부 부본부장을 맡고 있었다.

그는 “앞으로 더욱 겸손한 자세로 국민의 목소리를 듣겠다”며 “불편을 느끼신 모든 분들께 다시 한번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글을 마쳤다.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김 의원이 한 시민과 문자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여성은 출산 가산점과 군 가산점이 있을 것”이라며 “군 안 간 남성은 군 가산점이 없다. 남녀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아직 최종 공약이 확정된 것은 아니다”라고 답했다. 해당 글은 SNS상에 공유되면서 여성 유권자를 중심으로 “출산 안 한 여성은 여성도 아니냐”는 반발이 나오며 논란이 일었다.  

김 의원은 이날 오후 4시 40분쯤 한 번 더 사과했다.

그는 페이스북에 올린 ‘다시 한번 사과드립니다’라는 제목의 글에서 “저는 남성이 혜택보는 정책이 있다면 여성도 혜택을 봐야 한다는 식으로 정책을 고민했다”며 “그러면서 ‘출산가산점’을 말씀드렸다. 이것이 가장 큰 오류였고, 잘못이었다”고 했다.

이어 “잘못된 접근으로 만들어진 해법이니 문제는 꼬리를 잇기 마련”이라며 “자녀를 많이 낳는다고 점수를 주겠다는 발상은 비혼여성이나 자녀를 갖지 못하는 또는 않는 여성들에 대한 역차별이 될 수 있다”고 했다. 또한 “20대 초반에 주로 군입대 하는 남성들과 산모 평균 출산연령(33.6세, 23년 기준)을 비교해도 적절하지 않다”고 했다.

이어 “더욱이 선대위는 ‘출산가산점’을 공약으로 채택하거나 검토한 바 없다”며 “저의 부족함으로 마치 그것이 우리 당대선공약인 것처럼비치도록 했다. 명백한 저의 잘못”이라고 고개 숙였다.

그러면서 “불편함을 느끼셨을 모든 분께 송구하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죄송한 저의 마음을 어떻게 전해야 할지 모르겠다. 부족함을 채우도록 더 노력하겠다. 다시 한번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글을 맺었다.

당 선대위 공보단도 이날 공지에서 “민주당은 출산 가산점제에 대해 검토하거나 논의한 바 없다”고 해명했다.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