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모포스는 지름 약 160m로 5배 더 큰 디디모스(지름 약 780m)의 위성으로 11.9시간마다 공전하고 있다. 이와 시속 2만2000㎞(초속 6.1㎞)의 속도로 충돌한 DATR는 무게 620㎏으로 크기는 자동판매기만 하다.

미 항공우주국(NASA)이 소행성 궤적 변경을 위해 27일(한국시간) 실시하는 우주선 충돌 실험. 나사 홈페이지 캡처.
DART 우주선의 충돌 결과로 다모포스의 궤도가 바뀌었는지는 앞으로 수주에 걸쳐 지상과 우주망원경 관측을 통해 확인될 예정이다.
인류가 소행성 충돌로부터 지구를 방어하기 위한 전략을 실제 소행성을 대상으로 실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DART는 소행성과의 충돌을 목표로 지난해 11월 발사됐다. 지구로부터 약 1100만㎞ 떨어진 지점을 향해 10개월간 항해 끝에 이날 충돌했다.
이번 충돌 실험 목표는 소행성 폭파가 아닌 궤도 변경이다. 이를 통해 향후 지구를 향해 다가오는 소행성에 대해 비슷한 방식으로 궤도를 바꿔 충돌 위험성을 낮춘다는 취지다. 실험이 성공하면 공전 궤도가 안쪽으로 작아지면서 공전 시간이 몇 분 정도 단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실험에는 3억3000만달러(약 4600억원)가 투입됐다. NASA는 현지시간으로 오후 8시 실험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