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성 주유엔북한대사가 2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 총회에서 연설하는 모습. AP Photo/Julia Nikhinson. 연합뉴스.
"미국 때문에 핵무력 법령 채택"
김 대사는 이어 스스로를 '핵 보유국'으로 지칭하며 "세계에 우리나라 외에도 다수의 핵보유국들이 있지만 유독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만을 반대하는 가장 강도적이고 극악한 제재결의들이 나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는 자주적인 우리 국가를 적대하는 미국의 강권과 전횡을 유엔이 묵인 허용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제재 인정 없을 것"
김 대사는 이어 "명백히 하지만 우리는 미국이 일방적으로 만들어놓고 저들이 규정을 지키지 않는다고 하여 압박을 가하는 그런 유엔 제재는 인정한 적이 없으며 앞으로도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고 반발했다.
이와 관련,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향후 북한의 7차 핵실험 등 중대 도발에 맞서 내놓을 추가 제재 등을 염두에 둔 발언이란 지적이 나온다.
김 대사는 또 "지금 미국은 이 시각에도 조선반도 주변에서 매우 심각한 우려를 자아내는 합동군사연습을 벌려놓으려 하고 있으며, 이는 명백히 조선반도 정세를 전쟁 접경에로 몰아가는 도화선에 불을 붙이는 매우 위험천만한 행위"라고 지적했다. 한ㆍ미는 오는 29일까지 나흘간 미국의 핵추진 항공모함인 로널드 레이건함 등을 동원한 해상 연합훈련을 동해에서 실시하고 있다.

김성 주유엔북한대사가 2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 총회에서 연설하는 모습. Yuki IWAMURA / AFP. 연합뉴스.
지난해 11번 언급했는데…
한국 측 반응도 다소 달라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김성 대사의 연설에 대한 평가를 묻자 "북한 대사가 왜 한국을 언급하지 않았는지에 대해 말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앞서 지난해 9월 연설 당시 관련 질문에 "현 단계에서 (향후 정세를) 예단하진 않겠지만 정부는 한ㆍ미 간 긴밀한 공조를 바탕으로 대화와 외교를 통한 한반도 비핵화 노력을 경주하겠다"고 말했던 것과는 온도 차가 있다.
앞서 지난 20일 윤석열 대통령도 취임 후 첫 유엔 연설에서 11분동안 '자유'와 '연대'를 부각했지만 북한을 한번도 언급하지 않았다. "핵무기를 비롯한 대량 살상 무기", "인권의 집단적 유린" 등 북한을 간접적으로 겨냥하는 듯한 언급만 했을 뿐이다. 이와 관련,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대북 메시지는 담대한 구상 발표에서 더 이상 보탤 것도 뺄 것도 없다"고 설명했다.
남북, 서로 '무시' 전략
정대진 원주 한라대 교수는 "유엔 등 국제 무대에서도 남북 간 상호 고립주의 노선이 뚜렷해지는 양상"이라며 "한국도 굳이 남북관계 개선을 대외적으로 앞세우지 않고, 북한도 과거 한국과 대립 구도를 형성했던 것과 달리 일관된 대남 무시 기조로 가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 총회에서 연설하는 모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