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열심히 일하는데도 자산을 모으지 못하는 청년들이 늘고 있다. 사진은 서울 소재 한 대학에서 구직 활동 중인 대학생. 중앙포토
청년정책 공작소① : 청년 자산
졸업 직후 그는 인천시 소재 H 공사에서 보안 업무를 담당하는 외주 기업의 정직원으로 취업했다. 1년 6개월 가량 월급 180만원을 받았지만 사수가 근무 태만으로 해고당하면서, 본인도 감봉 징계를 받았다. 월급이 6개월간 20% 줄어 퇴사를 택했다.
생계비 감당 못 해 신용불량자로
다행히 지난해 6월 송도신도시 반도체 부품기업에 다시 취업했다. 주말·연휴에 동료들이 쉴 때도 자발적으로 휴일·연장 근무를 요청할 정도로 열심히 돈을 벌었다고 한다. 주변 평가가 좋아지자, 같은 지역 자동차용 부품 제조사에서 일종의 스카우트를 제의했다. 하지만 이직 7개월 만에 사측에서 “일감이 없다”며 저연차 사원을 대량 해고했다. A씨는 “해고 3개월 만에 자산은 0원이 됐다”며 “또다시 신기루처럼 자산이 사라졌다”고 한숨을 쉬었다.

서울 시내의 한 편의점에서 아르바이트생이 물품을 정돈하고 있다. 뉴스1
취업도 전에 '-1200만원'
주말마다 이틀간 16시간씩 카페에서 아르바이트하고, 방학 땐 근로장학생으로 일했다. 하지만 지난해 1200만원 가량의 빚을 떠안고 졸업했다. 대출금을 갚아야 한다는 생각에 급한 대로 중소기업에 입사했는데, 한 대기업 인턴 전형을 통과했다. 중소기업을 퇴사하고 인턴으로 한 달간 근무했지만, 정규직 전환에는 실패했다. 중소기업에 다니면서 가입했던 청년내일채움공제는 만기 2년을 채우지 못해 해지됐다.
프리랜서로 아르바이트를 뛰면서 취업에 재도전 중인 B씨는 “월 5~7만원 수준인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를 내는 것도 부담”이라며 “잔고가 -1200만원이 아닌 0원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한 친구들이 부럽다”고 말했다.

급증하는 청년 부채. 그래픽 차준홍 기자
심화하는 '부'의 대물림
대구청년연대은행 ‘디딤’이 지난해 청년 52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실태조사에 따르면, 청년들이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이유 중 1위는 해고나 일거리 감소였다(21.6%). 일거리가 없다는 이유로 해고당한 A 씨나, 이직하려면 기존 직장을 퇴사해야 하는 B 씨 사례가 대표적이다.
청년채무자 평균 부채 5000만원

청년들이 경제적 독립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소득 수준. 그래픽 차준홍 기자
이들은 대부분 금리가 낮은 1금융권보다는 금리가 높은 2금융권을 이용한다. 카드사 63.4%, 보험사 14.9%, 캐피탈 10.9% 순이다. 은행에서 대출받는 사람들보다 빚이 더 빠르게 쌓인다는 뜻이다. 최유리 디딤 이사장은 “해고 등 경제적 피해를 본 청년은 대출을 이용할 수밖에 없지만, 소득이 낮고 신용도가 낮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2금융권에서 돈을 빌리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그래서 20~30대 청년층 소득 격차는 갈수록 벌어지고 있다.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경상소득 하위 20%의 연간 소득은 1968만원(월 164만원)에 그쳤다. 상위 20%의 6분의 1수준이다.

청년들이 지난 1년간 경제적 어려움을 겪은 이유. 그래픽 차준홍 기자
금융 역량 강화해야
보건복지부가 도입한 청년내일저축계좌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청년에게 원급의 3배를 불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월 10만원을 3년간 적립하면 만기시 720만~1440만원을 받는다. 또 월소득 255만원 이하 청년 가입자가 10만~15만원을 희망두배 청년통장도에 저축하면, 같은 기간 서울시가 동일한 금액을 적립했다가 만기시 적립금의 2배와 이자를 받을 수 있다.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중소·중견기업 청년에게 자산 형성 기회를 제공한다. 중소·중견기업 사업주와 근로자가 공동으로 적립한 공제금에 복리 이자를 더해 5년 이상 일한 근로자에게 성과보상금을 지급한다.
청년 목소리 듣고 정책 만든다

청년들이 부모와 거주공간을 분리하지 못하는 이유. 그래픽 차준홍 기자
익명을 요구한 한 청년은 “부모님께 경제적 지원을 전혀 받지 못하고 있는데도 (부모의) 소득이 정부가 제시한 기준보다 높다는 이유로 청년 금융 상품에 가입하지 못했다”며 “정부 정책은 ‘그림의 떡’”이라고 말했다.
실제 대부분의 ‘청년통장’은 가입 조건이 까다롭다. 청년이 속한 가구의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4인 기준 약 512만원)이고, 가구 재산은 3억5000만원(대도시 기준)이하여야 한다.
![국무조정실이 지난 22일 진행한 '청년정책 공작소' 토론회에서 청년들이 자산형성의 어려움 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사진 국무조정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10/27/dcc8b524-e714-4236-83ca-62c109d233b7.jpg)
국무조정실이 지난 22일 진행한 '청년정책 공작소' 토론회에서 청년들이 자산형성의 어려움 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사진 국무조정실]
이에 대해 송경원 국무조정실 청년정책조정실장은 “청년정책 공작소는 청년이 처한 현실을 가감없이 듣는 자리”라며 “청년의 의견이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뒷받침할 것”이라고 말했다.
※ 중앙일보·국무조정실 공동기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