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금융권에 따르면 KB‧신한‧하나‧우리 등 4대 금융그룹의 올 3분기(7~9월) 당기순이익은 4조8876억원으로, 지난해 3분기(4조1208억원)보다 18.6% 늘었다. 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였던 올 1분기(4조5951억원)보다 6.4% 증가했다. 3분기 실적이 역대 최대를 기록하면서 올해 들어 누적 수익도 크게 늘었다. 올해 들어 3분기까지 누적 당기순이익은 13조854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5% 늘었다.
KB금융은 분기 기준으로 2020년 4분기 이후 7개 분기 만에 1등 자리를 신한금융에 내줬다. 3분기 순이익은 1조2713억원으로, 신한금융보다 소폭 뒤처졌다. 올해 들어 3분기까지 누적 순익은 4조279억원이다.
우리금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6% 늘어난 8998억원의 실적을 올리며 뒤를 이었다. 하나금융도 1조1219억원의 당기 순이익을 기록했다. 전북‧광주은행 등을 보유하고 있는 JB금융지주의 3분기 순익은 167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7% 늘었다. 올해 들어 3분기까지 누적 수익은 487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1% 증가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냈다.
이들 금융사가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할 수 있었던 이유는 늘어난 이자 수익이다. 전체 대출이 늘지는 않았지만, 올해 들어 기준금리가 3%까지 오르면서 대출로 인한 이익이 늘어나는 효과를 봤다.
신한금융 '리딩 뱅크' 차지…사옥 매각 이익 덕
금융사들의 4분기 실적 전망도 긍정적이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예고하고 있어 예대마진 확대에 따른 이자이익을 기대할 수 있어서다. 사업 다각화에 초점을 맞췄던 4대 금융그룹의 은행 의존도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예컨대 KB금융 순이익에서 국민은행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3분기 58.3%에서 올해 3분기 67.2%로 높아졌다. 신한금융(60.1%)이나 하나금융(78.7%), 우리금융(89.1%)도 은행 의존도가 커졌다.
기준금리 인상이 은행 실적에 긍정적 영향만 주는 건 아니다. 자금 조달 부담이 커지고 있다. 4대 은행의 정기 예금 잔액은 3분기에만 50조원 늘었다. 기준금리 인상으로 지난해 말 1%대 정기예금 금리가 현재 최고 4% 중후반까지 오른 영향이다. 반면 이자율이 0.1% 수준인 저원가성 요구불예금은 같은 기간 20조원 넘게 줄었다. 그만큼 자금 조달 비용이 비싸졌다는 의미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최근 채권시장 침체로 기업 대출 연체율이 높아지면 유동성 부담도 커질 수 있어 3분기보다 실적이 좋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