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살 여대생 쑹모씨가 사용하던 이층침대. 추락방지펜스가 매트리스 높이와 비슷해 무용지물이다. 사진 하이바오신문 캡쳐
지난달 3일 새벽 0시 30분쯤 중국 쑤저우 정보기술대학에 재학 중이던 쑹(宋ㆍ22)모씨가 기숙사 이층 침대에서 바닥으로 떨어졌다. 아래층에 있던 동료가 발견해 119에 신고해 급히 병원으로 옮겨졌고 수술이 진행됐다. 하지만 뇌를 다친 쑹씨는 혼수상태에서 깨어나지 못했고 결국 이틀 뒤인 5일 오후 7시경 세상을 떠났다.
사건이 알려진 건 코로나 봉쇄 해제로 학교 출입이 가능해진 뒤 유가족이 쑹씨의 기숙사를 찾아가면서였다.

기숙사 침대를 확인하고 있는 유가족. 이층 침대 높이는 1.9m에 이르지만 추락방지펜스는 무용지물이었다. 사진 하이바오신문 캡쳐
중국 국가표준화관리위원회는 지난 2016년 이층침대 추락 방지 펜스의 높이를, 매트리스를 제외하고 20㎝ 이상이어야 한다는 규정을 마련한 바 있다.
유족들은 “학교 측이 부실한 이층침대를 설치해 딸이 사망에 이르렀음에도 지금까지 제대로 된 사과 한번 없었다”며 “의료비와 장례비만 해도 20만위안(3700만원)이 넘게 들었는데 학교 측은 보상금으로 5만위안(950만원)만 지급했다”고 말했다.
유족들은 또 학교 측이 사고 이후에도 여전히 이층침대를 교체하지 않고 있으며 학생들에게 안전에 유의하라고 전달한 것이 전부라고도 지적했다. 이들은 학교와 침대 제조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