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구 개포동 구룡마을 어린이들이 골목을 지나가고 있다. [중앙포토]](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303/30/8092ca92-5576-4e95-ac2b-5a4328af296b.jpg)
서울 강남구 개포동 구룡마을 어린이들이 골목을 지나가고 있다. [중앙포토]
서울시·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는 30일 이런 내용을 담은 ‘구룡마을 거주민 이주 지원 대책’을 발표했다. 구룡마을은 과거 도시정비사업에서 밀려난 철거민이 농지 위에 비닐·판자·부직포 등으로 집을 지어 형성된 거주지역이다.
현재 구룡마을에 540세대 거주 중

구룡마을 임시 이주 임대주택 현황. 그래픽 김경진 기자
서울시는 남은 주민 가운데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와 차상위계층이 임대 주택에 입주하면 보증금·임대료를 전액 지원·감면해주기로 했다. 또 수급자 등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임대보증금을 전액 감면하고, 임대료 지원율을 종전 40%에서 60%로 높일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구룡마을 화재 이재민 중 32세대가 임대료 부담 등을 이유로 불이 났던 곳에서 천막을 치고 생활하고 있다”며 “이대로 가다간 또다시 불이 날 수 있어 시급히 이주 대책을 마련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지난 1월 서울 강남구 개포동 구룡마을 4구역 주택에서 큰 화재가 발생했다. [사진 소방청]](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303/30/a9f749e2-d576-4194-99eb-77824a09d1ca.jpg)
지난 1월 서울 강남구 개포동 구룡마을 4구역 주택에서 큰 화재가 발생했다. [사진 소방청]
서울시가 이런 대책을 내놓자 SH공사도 다음 달 중 이주 지원 대책 관련 안내문을 구룡마을 거주민에게 보낼 예정이다. 계획대로라면 5월 1일부터 임대료 감면 등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다. SH공사는 또 구룡마을 개발 사업에 앞서 오는 5월 1일 보상계획도 공고할 예정이다.
이에 대해 김현기 서울시의회 의장은 “구룡마을 주민은 임대나 입주권 선호로 양분돼 있다”며 “서울시가 내놓은 대책은 임대 선호 주민을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김 의장은 “입주권을 요구하는 주민이 이주에 응하지 않으면 별도 대책이 필요하다”며 “조만간 주민들이 이번 대책에 어떤 생각을 하는지 들어볼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구룡마을은 김 의장 지역구다.
기초생활·차상위자 임대료·보증금 ‘0’

구룡마을 재해 발생 현황. 그래픽 김경진 기자
개발 계획이 지연하는 동안 구룡마을엔 재해가 끊이지 않았다. 서울시에 따르면 2011년 이후 지금까지 9차례 화재와 1차례 수해로 246세대 412명이 피해를 봤다.
여장권 서울시 균형발전본부장은 “구룡마을 주거 안정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은 조속한 이주와 빠른 도시개발사업 추진”이라며 “이번 이주 지원 대책을 계기로 천막 거주자 등 생계가 어려운 주민은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으로 빨리 이주하기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