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금융감독원 전경. 중앙포토
실제 지난 1월에는 뇌경색으로 쓰러져 입원한 80대 노인이 병원비로 쓸 예금을 찾기 위해 중환자 병실 침대에 실려 은행을 방문하는 일이 벌어져 논란이 된 바 있다.
새 업무처리 기준에 따르면 은행들은 예금주 가족이 치료비 목적으로 예금 인출을 신청할 경우에는 위임장이나 인감증명서를 요구하지 않기로 했다. 가족관계 확인 서류와 의사 소견서, 병원비 청구서 등으로 필요 서류를 간소화했다. 다만 가족이 아닌 대리인이 지급을 요청한 경우엔 현행 방식을 유지하되 은행원이 병원에 직접 방문해 예금주 본인의사를 확인할 수 있도록 대안을 마련했다.
예금인출이 가능한 치료비 범위도 수술비와 입원비·검사비 등으로 넓히기로 했다. 은행이 직접 이체하는 의료기관도 병원뿐 아니라 요양병원이나 요양원·장례식장 등을 포함하기로 했다.
예금주 사망 시에는 상속인 전원이 동의한 서류(서명이나 날인 필요)를 제출해야만 예금 인출을 허용하고 있었지만, 가족의 장례비 요청 시에는 은행이 병원이나 장례식장에 직접 이체해주기로 했다. 치료비의 경우 예금주 생존 시 적용되는 지급 절차를 적용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