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만원짜리 위스키 1병을 사기 위해 전날부터 줄을 선다. 올해 들어 대한민국 위스키 주조 1호 장인인 김창수 대표의 싱글몰트 위스키는 파는 데마다 완판이다. 26일 출발한 홍콩 3박4일 일정의 모두투어 여행상품은 완판됐다. 1박 100만원을 호가하는 최고급 호텔에 묵는 고가의 여행상품이지만, 예약은 판매 30초 만에 마감됐다. 싼 가격이 아님에도 구매 수요는 폭발적이다.
이런 거리두기 해제 이후 고소득층의 보복 소비는 통계로도 드러난다. 올해 들어 고소득층에 해당하는 소득 상위 20%(5분위)의 지출이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고소득층이 지갑을 다시 열기 시작하면서 코로나19 이전 수준의 소비성향을 보여줬다. 그러나 소득 1분위부터 4분위까지는 소비 회복이 더뎠다. 1년 넘게 이어지고 있는 고물가로 인해 중산층의 실질소득은 감소한 탓이다.
5분위만 소비성향 회복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고소득층, 못 갔던 여행 떠났다

22일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에서 여행객들이 면세점을 이용하는 모습. 뉴스1
미뤄뒀던 해외여행을 가는 등 여가를 즐기다 보니 상대적으로 지출 여력이 큰 5분위만 지갑을 열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고소득층은 돈이 없어서 못 쓴 게 아니라 코로나19 때문에 돈을 안 쓰고 있었던 것”이라며 “거리두기 해제 이후 이들의 소비성향이 빠르게 회복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물가가 오른 상황에서 경기는 좋지 않다 보니 고소득층이 아니고서는 소비에 제약이 걸렸다”고 덧붙였다.
중산층, 3분기 연속 실질소득 감소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실질소득은 1분위 1.5%, 2분위 2.4%, 3분위 2.1%씩 감소했다. 3분위는 소득 상위 40~60%로, 중산층에 해당한다. 물가가 오르는 것과 비교해 임금은 크게 늘지 않으면서 저소득층뿐 아니라 중산층까지 실질소득이 줄었다는 의미다. 3분위의 가구당 실질소득은 지난해 3분기부터 3개 분기 연속으로 감소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