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9월 다이슨 관계자가 무선 청소기 제품을 시연하고 있다. 연합뉴스
주부 이모(52)씨는 지난해 말, 몇 년 전 산 다이슨 청소기의 전원 버튼이 작동하지 않자 애프터서비스(AS)센터에 수리를 맡겼다. 하지만 6개월이 지난 이달 초에야 ‘한 단계 낮은 부품으로 교체해주겠다’는 답변을 들어야 했다.
“처음엔 일정 금액을 내고 프리미엄 서비스를 신청하면 대체품을 보내준다고 했다가, 대체품이 없다며 부품이 들어오면 연락을 주겠다는 거예요. 이후엔 두 달에 한 번씩 연락해 부품이 준비되지 않았다는 말만 되풀이하다가 이달 초에야 국내에 해당 부품이 없다고 하는 겁니다.”
이씨는 결국 불편함에 지쳐 작은 청소기를 새로 샀다. 그는 “비싼 돈 주고 산 제품인데 6개월 동안 수리가 안 되는 게 말이 되느냐”며 “앞으로 다이슨 제품은 사지 않을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다이슨 청소기는 공식 웹사이트에서 69만9000~139만원에 판매되고 있다.
“쿠폰 줄 테니 새 제품 사라”
직장인 김모(40)씨는 최근 3년 전쯤 구매한 다이슨 슈퍼소닉 헤어드라이어가 갑자기 작동하지 않아 AS센터에 연락했지만 “부품이 없어 교체가 어렵고, 무상 수리 기간인 2년이 지났다. 할인 쿠폰을 제공할 테니 새 제품을 구매하라”는 답변을 들었다. 김씨는 “50만원 넘게 주고 산 제품인데 수리가 안 된다니 황당했다”며 “소비자의 정당한 권리를 무시하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온라인에서도 비슷한 사례를 찾을 수 있었다. 한 소비자는 “다이슨 에어랩(헤어 스타일링 기기)을 AS센터에 보낸 지 곧 두 달이 된다”며 “접수 후 연락 한 번 없다가 먼저 센터에 문의하니 리퍼 제품 교체로 진행되는데 수요가 많아 일정은 확인해줄 수 없다고만 한다”며 답답해했다. 에어랩은 다이슨의 대표 인기 제품으로 74만9000원에 판매되고 있다. 이 밖에도 “다이슨 AS 악명 높더라” “명성에 비해 AS 대처가 미흡하다” 같은 비난이 이어졌다.

다이슨의 새 스타일링툴 '플라이어웨이 스무더 노즐'이 부착된 '슈퍼소닉 헤어 드라이어'. 고석현 기자
“비싼 돈 주고 산 제품인데…”
2019년 72시간 내 수리 도입했지만
소비자원 관계자는 “하지만 기준이 되는 소비자기본법 시행령에 모든 상황이 구체적으로 명시돼 있지는 않다”며 “환불을 받지 못하면 소비자상담센터(1372)에서 상담할 수 있고, 그래도 해결되지 않으면 소비자원에 피해 구제를 신청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AS에 6개월이 소요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 업체가 한국 시장을 바라보는 입장이 반영된 것으로도 볼 수 있다”며 “다이슨이 고유의 장점으로 한국 시장에서 선풍적 인기를 누렸지만 이를 지속하려면 서비스에 더 신경을 써야 한다”고 말했다. 업계에 따르면 스틱 청소기 기준 다이슨의 국내 시장 점유율은 10~15%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