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스트리트저널(WSJ)은 12일(현지시간) 앨런 에스테베스 미 상무부 산업안보 차관이 지난주 미국 반도체산업협회 관계자와 만나 “한국과 대만 기업에 대한 첨단 반도체 생산 장비의 수출 통제 유예 조치가 당분간(for the foreseeable future) 연장될 것”이라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지난해 10월 미국이 자국 반도체 장비 기업의 대중국 수출을 금지하면서 한국·대만 반도체 기업의 중국 공장에 대해서는 1년간 유예했는데, 올 10월 이후에도 이 조치가 연장될 것이라는 뜻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대만 TSMC가 대상이다. 상무부가 구체적으로 언제 어떤 방식으로 유예하는 조치를 발표할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미국 정부가 중국에 공장을 가동하는 한국 기업에 대해 별도의 장비 반입 기준을 마련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시적 유예 조치 대신 분명한 기준을 만들겠다는 의미다. 다만 기준 마련에 시간이 걸릴 가능성이 있으며, 이 때문에 먼저 유예 조치를 발표하고 이후에 기준을 마련하는 식으로 접근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과 쑤저우에, SK하이닉스는 우시와 다롄에 공장을 두고 있다. 국내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불확실성이 해소돼 가는 과정으로 본다”며 “지난해와는 분위기가 달라진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WSJ는 “해외 반도체 기업은 중국과 비즈니스를 제한하려는 미국의 노력에 저항해 왔다. 중국을 가장 큰 수출 시장으로 둔 한국에서 가장 많은 비판이 나왔다”고 전했다. 그동안 미국이 중국을 고립시키려 노력하는 것에 대해 한국 반도체 업계의 반발에 부닥쳤다는 설명이다.
최근 이런 분위기에 변화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존 테일러 삼성전자 부사장은 “현재까지 우리가 발표한 팹(반도체 제조공장)은 하나뿐이다. 하지만 더 많은 공간이 있다”고 말했다. 향후 투자를 확대할 수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미주 지역 반도체 사업을 총괄하는 한진만 삼성전자 DSA 부사장은 최근 열린 ‘더 식스 파이브 서밋’에서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에서 미국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며 “미래 반도체 종류에 대해 이해하고 하드웨어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미국에 있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중국 공장 가동하는 한국기업에 미국, 별도 장비반입 기준 검토
업계에서는 반도체 기업의 미국 투자 확대는 자연스러운 흐름이라고 진단한다. 미국 애리조나주에 공장을 짓고 있는 TSMC는 최근 ‘탈대만’을 우려하는 주주의 반발에 “글로벌 리더십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웨이저자 TSMC 최고경영자)이라며 달래기에 나섰다.
TSMC는 내년부터 4나노미터(㎚·1㎚=10억분의 1m) 칩 양산을 시작할 예정인데, 이에 따른 화물 수요 급증에 대처하기 위해 애리조나주에서는 신공항 건설 계획을 검토하고 있다.
다만 한시적으로 유예 조치를 얻어낸 것으로는 부족하다는 견해도 나온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1년 이상 장기간 유예를 받아내지 못하면 중국 내 제품 생산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반도체 시장이 반등할 것이란 분석도 잇따라 나오고 있다. 김동원 KB증권 애널리스트는 13일 “삼성전자의 올해 연간 영업이익 전망치를 1조471억원에서 1조963억원, 내년도 영업이익 전망치를 3조4130억원에서 4조974억원으로 상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실적 개선을 예상한 근거는 세 가지다. 우선 2분기 D램 출하량이 전 분기 대비 20% 늘어 재고 감소가 시작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또한 감산 효과로 4분기 D램과 낸드플래시 가격이 약 2년 만에 상승세를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4분기 HBM3(4세대 고대역폭 메모리) 출시로 인공지능(AI) 서버용 메모리 시장에 본격 진입이 예정된 것 역시 반등을 점치는 이유다.
도현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2분기부터 이어진 고객사의 공격적인 재고 조정으로 TV를 비롯한 일부 제품 재고가 올 1분기 정점을 찍었다”며 “스마트폰과 서버 관련 부품, 메모리 재고도 2분기가 고점”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