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4일 백악관에서 연설 후 질문에 답하고 있다. [EPA=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310/06/2743af48-cfe1-4331-8b0b-68e1baa3276a.jpg)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4일 백악관에서 연설 후 질문에 답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바이든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학자금 채무탕감 계획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상·하원에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겠다고 했던 다수 의원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그 현안에 대해 조만간 중대 연설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야당이 다수를 점한 하원이 지난달 30일 임시예산안을 승인하며 우크라이나 지원 예산을 제외한 것과 관련해선 “다음 지원분에 대해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다른 수단들이 있다”며 의회 예산 승인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대통령령 등 우회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할 뜻을 내비쳤다.
이날 공개된 시카고국제문제협의회(CCGA) 여론조사에 따르면 미국인 63%가 우크라이나에 추가 군수 물자 제공에 찬성했다. 다만, 지난해 3월 같은 조사에서 기록한 79%와 비교하면 찬성 여론은 줄었다. 민주당 지지자의 77%, 공화당 지지자 50%가 찬성했다. 공화당 지지자 찬성 여론은 1년여 만에 80%에서 50%로 확 떨어졌다.
CCGA는 “역사적으로 공화당 지지자들은 민주당보다 미군의 해외 주둔 등에 대해 찬성하는 입장을 보여왔지만, 이런 전례가 더 이상 유지되지 않고 있다”며 “공화당 지지자들의 변화는 한국과 일본 등에서도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이 한국을 침공할 경우 미군을 보내 방어해야 하느냐는 질문에 찬성한 응답은 50%로 나타났다. 찬성 비율은 2021년 63%, 지난해 55%에 이어 지속적 하락세를 보였다. 공화당 지지자의 찬성 비율은 같은 기간 68%→54%→46%로 보다 가파른 하향 곡선을 그렸다.
중국이 일본을 침공할 경우 보호해야 하느냐는 질문엔 반대(55%)가 찬성(43%)을 앞섰다. 주한·주일미군 주둔 필요성에는 각각 63%와 65%가 찬성했다. 1년 전 조사보다 각각 14%포인트와 7%포인트 줄었다. 보수층을 중심으로 동맹에 예산을 투여한 안보 제공에 대한 부정적 의견이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한국과 일본, 대만과의 관계 강화가 미국 안보에 도움이 되느냐는 질문에는 각각 71%, 77%, 65% 비율로 찬성 의견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