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경쟁력'을 앞세운 부산은 끝내 '오일 머니'의 벽을 넘지 못했다.
28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국제박람회기구(BIE) 총회에서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가 2030년 세계박람회(EXPO·엑스포) 개최지로 선정됐다. 182개 국제박람회기구(BIE) 회원국의 투표 결과 한국 부산은 29표, 사우디 리야드는 119표를 얻었다. 이탈리아 로마는 17표를 얻었다.

28일 오후(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외곽 팔레 데 콩그레에서 열린 제173차 국제박람회기구(BIE) 총회에서 2030년 세계박람회 개최지 선정 투표결과가 프레스센터 모니터에 표시되는 모습. 1차 투표 결과 사우디 119표, 한국 29표, 로마 17표로 한국은 엑스포 유치에 실패했다. 연합뉴스
1차 투표에서 리야드가 3분의2 이상 표를 획득하면서 2차 투표에서 이탈리아의 표를 흡수해 승부를 뒤집겠다는 정부의 전략은 제대로 가동되지도 못했다. 사우디가 왕정 체제를 총동원해 로비 활동을 벌이고, 막대한 자금력으로 BIE 회원국을 포섭한 결과로 평가된다.
이날 BIE 총회에 참석한 한덕수 국무총리는 "국민 여러분의 열화와 같은 기대에 미치지 못해 송구스럽고 그동안 지원해 주신 성원에 충분히 보답하지 못해 대단히 죄송하다"고 말했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28일 오후(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르 팔레 데 콩크레 디시(Le Palais des Congr?s d’Issy)에서 열린 국제박람회기구(BIE) 제173차 총회에서 2030 세계박람회(엑스포)의 부산 유치 실패가 결정된 뒤 기자회견을 하는 모습. 국무총리실 제공, 뉴스1
하지만 정부는 막판 대역전극을 목표로 대통령·총리는 물론 각 부처 장관이 합심하고 기업들이 전폭적인 지원에 나서며 사우디를 추격하기 시작했다. 이달 들어선 정부에서 자체 집계한 예측표 계산 결과 한국과 사우디의 표차가 10표 안팎으로 줄어든 시나리오가 도출되기도 했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1차 투표에서 리야드가 3분의 2를 넘는 119표를 획득하며 2차 투표에 이르지 못했다. 익명 투표란 점에서 애초에 표의 향방을 예측하는 것 자체가 어려웠지만, 이같은 결과는 정부 예상보다 훨씬 저조한 성적이었다. 1차 투표에서는 리야드를 찍더라도 2차 투표에서는 부산에 표를 달라는 게 회원국을 움직이는 정부의 선거 전략이었는데, 막강한 '오일 머니'를 바탕으로 아예 1차 투표에서 막대한 표차로 승부를 확정지으려 한 사우디의 접근법에는 역부족이었던 셈이다.

국제박람회기구(BIE) 실사단이 지난 4월 5일 오후 부산항컨벤션센터 내 2030부산세계박람회 홍보관을 방문해엑스포 개최 예정 지역인 부산 북항에 대해 설명을 듣는 모습. 연합뉴스
특히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과 분단국가 이미지가 고착화된 한국은 엑스포 유치전을 계기로 경제·문화적 발전상을 폭넓게 알렸다. 엑스포 유치 경쟁에 뛰어든 부산이 '글로벌 허브도시'와 '그린 스마트시티'를 목표로 도시 개조 프로젝트에 준하는 변신에 나선 것 의미있는 성과로 꼽힌다.
또 뒤늦게 엑스포 유치 경쟁에 뛰어든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각 BIE 회원국을 상대로 전방위적 소통에 나섰단 점은 오히려 한국의 외교네트워크 강화로 이어진 측면이 있다. 특히 정부와 민간이 공동으로 꾸린 엑스포유치위원회는 500여일간 지구 495바퀴(1985만km)를 돌며 각국 정상을 포함해 3470여명을 만났다. 윤석열 대통령은 9월 유엔총회 당시 40여명의 정상과 연쇄 회담을 갖는 등 엑스포 유치를 위한 최전선에서 부산 홍보 활동을 이어왔다.

프랑스 파리를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3일(현지시간) 파리 시내의 한 호텔에서 열린 국제박람회기구(BIE) 대표 교섭 만찬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뉴스1
이와 관련, 한덕수 총리는 BIE 총회 뒤 "결과에 대해서는 저희가 겸허히 받아들이고, 그동안 182개국을 다니면서 우리가 얻은 외교적 자산은 계속 더 발전시켜 나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 총리는 앞서 지난 21일 국무회의에서는 "(이번에)구축된 엑스포 네트워크는 당장의 부산 엑스포 유치뿐만 아니라, 유동적인 국제사회에서 우리의 우방을 넓힌 귀중한 자산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엑스포 유치 과정에선 경쟁을 벌였지만 이를 계기로 한-사우디 양국 간 이해도와 소통 채널이 강화된 것 역시 성과로 꼽힌다. 특히 윤석열 대통령은 경쟁이 치열한 중에도 지난달 사우디를 국빈 방문해 빈 살만 왕세자와 회담을 가졌고, 이 자리에서 21조원 규모에 달하는 51건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또 각각 사우디 국방부·국가방위부 장관을 만나 양국 국방·방산 협력을 본격화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