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인 마드리드 주재 북한 대사관의 모습. 로이터, 뉴스1
아프리카 민주콩고 주재 북한 대사관도 철수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인 NK뉴스는 전날 민주콩고 외교부 대변인을 인용해 "민주콩고의 수도인 킨샤사에 있는 북한 대사관이 폐쇄될 예정이며, 에티오피아 주재 북한 대사관이 민주콩고 관련 업무를 처리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북한이 지난달부터 폐쇄한 재외공관은 외신 보도 등을 통해 알려진 것만 우간다, 앙골라, 스페인, 네팔 대사관과 홍콩 총영사관 등 7곳에 이른다. 이에 따라 북한이 운영하는 재외공관 수는 기존 53곳에서 46곳으로 줄어들었다.
이와 관련해 북한 외무성은 지난 3일 "변화된 국제적 환경과 국가 외교정책에 따라 다른 나라 주재 외교 대표부들을 철수 및 신설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2017년 12월 뉴욕 유엔본부에서 회의를 열고 대북 유류 공급을 대폭 줄이는 내용 등을 포함한 ‘대북제재결의 2397호’를 만장일치로 채택하는 모습. 신화사, 연합뉴스
통일부 당국자도 "대북제재 강화로 인해 공관이 벌여오던 외화벌이 사업이 차질을 빚고 있어 더는 공관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 철수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전통적인 우방국들과 최소한의 외교 관계도 유지하기 벅찬 북한의 어려운 경제 사정 보여주는 한 단면"이라고 평가했다.
정유석 IBK경제연구소 북한경제팀 연구위원도 "북한이 폐쇄한 재외공관을 살펴보면 전통적인 우호 관계를 가지고 있지만,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이행으로 인해 불법적인 외화벌이 활동이 사실상 어려운 국가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