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현지시간) 독일 서부 노이라트 소재 독일 에너지 대기업 RWE가 운영하는 갈탄 발전소의 굴뚝에서 연기가 나오고 있는 모습. AFP=연합뉴스
2015년 12월 파리협정 당시 참가국들은 지구의 평균 온도가 1800년대 후반 산업혁명이 일어나기 전보다 1.5도 이상 오르지 않도록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올해 UN 산하 세계기상기구(WMO)는 “2027년 안에 지구 평균 기온이 1.5도를 넘을 가능성이 66%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과학계에서도 이미 배출된 온실가스의 양과 각 국가의 ‘넷 제로’(온실가스 순 배출량이 0인 상태) 계획을 종합하면 1.5도 상승 마지노선을 지키기 어렵다는 전망을 하고 있다. 이번 COP28에서 국제사회가 어떤 대안을 내놓을지 주목되는 이유다.

COP28 의장 술탄 알 자베르(오른쪽)가 셰이크 모하메드 빈 자예드 알 나얀 아랍에미리트(UAE) 대통령 겸 아부다비 국왕(가운데), 림 알 하시미 아랍에미리트 국제협력부 장관(왼쪽)과 함께 걷는 모습. AP-연합뉴스
COP28 3대 쟁점
①전 지구적 이행점검(GST)
이번 COP28에서는 2015년 12월 도출된 ‘파리협정’ 이후 처음으로 ‘전 지구적 이행점검’(GST) 결과가 발표된다. 국제사회가 파리협정에서 정한 목표를 향해 나아가고 있는지 점검하는 중간 성적표인 셈이다.
COP28에서는 전 지구적 이행점검(GST) 결정문을 만드는 과정에서 당사국들이 첨예하게 논쟁을 벌일 전망이다. GST 결정문은 지난 9월 UN 기후변화협약 사무국이 발표한 GST 종합보고서를 토대로 당사국 고위급 회의를 거쳐 작성된다. 이 과정에서 기후변화를 일으킨 과거의 책임을 어느 정도 명시할지, 결정문에 명시할 향후 계획 등이 쟁점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김영옥 기자
앞서 세계 각국의 탄소 배출량을 추적하는 국제과학자그룹 ‘글로벌 카본 프로젝트(GCP)’는 지난해 각 국가의 과거 배출 책임 정도를 공개했다. 1850~2020년 사이 배출된 탄소 중 24.6%는 미국, 13.9%는 중국에 책임이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 러시아(6.8%), 독일(5.5%), 영국(4.4%), 일본(3.9%), 인도(3.2%). 프랑스(2.3%) 등 주요국이 과거 배출 책임 상위권에 올랐다.
전 세계 인구의 0.6%가량을 차지하는 한국도 과거 배출 책임의 1.1% 지분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현재 배출량도 전 세계 10위 안팎이라는 점에서 앞으로 책임의 비중은 더 올라갈 전망이다. 과학자들로 구성된 국제 카본 프로젝트(GCP)에 따르면 한국은 지난해 연료를 태워 배출한 탄소량이 597메가톤으로 전세계에서 9번째로 많았다.

김영옥 기자
②손실과 피해

지난 6월 인도네시아의 데막 팀불슬로코 마을 모습.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빠르게 바다로 가라앉는 이 지역민이 바닷물에 잠긴 자신의 잡 마당에서 보트를 타고 낚시하는 모습. AFP=연합뉴스
선진국은 취약국을 기후변화에 취약한 최빈개발도상국과 군소도서개발도상국으로 한정할 것을 주장하고 있지만, 개도국들은 모든 개도국이 대상이 돼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한국 대표단은 이 분야에서 중진국으로서 중재를 한다는 입장이다. 환경부는 “한국은 주요국과 환경건전성그룹(한국·스위스·멕시코·모나코·리히텐슈타인·조지아로 이뤄진 기후변화 협상단)과 공조해 선진국과 개도국 사이에서 적극적으로 중재하고 글로벌 중추 국가에 걸맞은 정책적 의지를 강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③감축 계획 상향

인천시 서구 경인아라뱃길에서 바라본 서구지역 발전소 모습. 연합뉴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올해 초에 “2030년이 인류의 생존에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빠른 행동을 요구했다. 술탄 알 자베르 COP28 의장도 최근 모든 참가국에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생산 능력을 3배 확대하고, 에너지 사용량을 절반으로 줄인다’는 COP28 합의에 동의할 것을 촉구하는 서한을 보냈다.
앞서 미국과 중국도 재생에너지 능력을 3배 상향하기로 동의했다. 특히 지난 15일 APEC 정상회담에서 미국과 만난 중국이 여기에 동의하겠다는 입장을 밝혀 전 세계로부터 주목을 받았다. 한국 정부는 아직 입장을 정하지 못했다. 이창흠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 실장은 중앙일보에 “재생에너지 분야는 (한국의 상황에서) 어쩔 수 없는 한계가 있다”면서 “관계 부처와 협의 중”이라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