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의 한 버스 공영차고지에 시내버스와 마을버스들이 다수 주차되어 있다. 연합뉴스
3일 정부에 따르면 기획재정부·산업통상자원부·외교부·환경부 등 관계부처는 지난 1일 중국산 요소 수입 관련 긴급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최근 중국 현지에 있는 한국 기업들로부터 ‘중국 해관총서(한국의 관세청)에서 통관 검사까지 마친 요소에 대해 선적을 못하게 한다’는 보고가 잇따라 들어오면서다. 요소 업계 관계자는 “중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수출 금지 조치를 내린 것은 아니고, 통관 과정에서 지연시키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는 ‘공식적인 조치는 없었다’는 입장이지만, 선적을 막은 경위를 묻는 한국 정부 질의엔 아직 답변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산업부 관계자는 “지난달 30일 요소 수입이 지연되는 상황을 인지했다”며 “긴급 점검회의를 열어 상황을 점검하고 주중 대사관 등 여러 채널을 통해 중국 정부에 관련 입장을 요청했지만, 답변은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한국은 여전히 대부분 요소 수입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 관세청에 따르면 요소 수입에서 중국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1년 71%에서 지난해 67%로 떨어졌지만, 올해 다시 90%대로 치솟았다. 베트남·호주 등 다른 생산국에 비해 중국산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기 때문이다. 중국 수입 차질이 장기화되면 ‘제2의 요소수 대란’이 펼쳐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다만 정부는 추가 비축분을 확보하고 있는 만큼 과거와 같은 공급 대란을 우려할 상황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현재 3개월분이 넘는 비축물량이 있어 내년 3월 초까진 공급에 문제가 없다”며 “2021년 이후 10여개국 대체선도 미리 확보해놓은 만큼 (중국 수입이 제한돼도) 공급에 문제는 없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