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낙연 전 국무총리가 1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 중앙일보 사옥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하고 있다. 김경록 기자
앞서 김 전 총리는 지난달 27일 언론 인터뷰에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선거법 유지를 주장하면서 “(당에) 기여할 상황이 되면 움직이겠다”고 말했다. 이 전 대표도 지난달 28일 본인의 싱크탱크격인 ‘연대와 공생’ 주최 토론회에서 “당장 할 일은 위성정당 포기를 전제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유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전 대표의 한 측근은 “두 사람이 자주 연락한다”며 “각자도생으로는 안 된다. 제3지대에서 움직이는 사람들이 다 연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측근은 특히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 유승민 전 의원 등을 거론하며 “개혁적 보수와 합리적 진보까지도 다 아우르는 제3의 정치공간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제3지대’에서 움직이는 주요 인물론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기류와 관련 임종석 전 대통령비서실장은 지난달 30일 MBC라디오에서 “이재명 대표와 당 지도부가 이 전 대표, 김 전 총리 같은 분들과 자주 만나면서 당이 충분히 소통하고 소수의견을 들어주고 있다는 믿음을 줘야 한다”고 말했다. 당내 비명계 모임인 ‘원칙과 상식’은 오는 10일 토론회에 이 전 대표와 김 전 총리의 참석을 조율하고 있다.
이 전 대표는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제3신당 가능성을 내비치고 있다. 지난 1일 중앙일보 인터뷰에서 “(양당이 아닌) 새로운 답안지가 나와야 한다”고 말했고, 4일 연합뉴스TV 인터뷰에서도 “제 인생을 걸고 고민해야 될 문제”라면서 “너무 길게 끌어서는 안 되기 때문에 생각이 정리되는 대로 말씀을 드리겠다”고 말했다.
![김부겸 전 국무총리(오른쪽)와 오영식 더불어민주당 전 의원이 16일 오전 윤석열 대통령의 부친 고 윤기중 연세대 명예교수의 빈소가 마련된 서울 서대문구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을 찾아 조문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312/04/d50060c7-6908-45b4-b8f1-ce98a6019e3d.jpg)
김부겸 전 국무총리(오른쪽)와 오영식 더불어민주당 전 의원이 16일 오전 윤석열 대통령의 부친 고 윤기중 연세대 명예교수의 빈소가 마련된 서울 서대문구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을 찾아 조문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친명계는 이 전 대표와 김 전 총리의 행보를 평가절하하는 분위기다. 박성준 대변인은 4일 YTN 라디오에 출연해 “신당 창당은 차기 대선후보로서 유력한 주자가 있느냐, 그 세력의 명분이 어떤 거냐(가 중요하다)”며 “(현재로선)신당 창당의 공간이랄까, 룸이 상당히 좁다”고 말했다. 한 친명계 의원은 “(이 전 대표가 신당을 창당하더라도)파급력이 전혀 없다”며 “윤석열 정부 탄생 배경이 문재인 정부에 대한 ‘심판론’인데, 문 정부에서 총리했던 분들이 과연 중도 소구력이 있겠느냐”고 말했다.
당내에선 친명계가 선거제 개편과 관련해 준연동형 비례제 대신 병립형 비례제에 힘을 싣는 이유도 이같은 ‘제3신당’ 움직임에 대한 우려가 작동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 전 대표와 김 전 총리 등이 연동형 비례제를 주장하며 독자 공간을 찾는 만큼 병립형 비례제로 회귀해 민주당 중심의 선거에 집중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장경태 최고위원은 이날 SBS 라디오에 출연해 “(이낙연 신당 등의 논의가) 지역구 의석을 확보하겠다는 게 아니라 비례 의석을 확보하겠다는 것”이라며 “연동형 비례제의 폐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