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06/115e7f61-83f9-4558-92ec-65cb011683dc.jpg)
딥시크
교육부는 6일 오전 시·도교육청과 대학 등에 ‘AI 관련 보안 가이드라인’을 발송했다고 밝혔다. 교육부 관계자는 “딥시크를 명시하진 않았지만, 업무시 생성형 AI는 가급적 데이터 유출 우려가 있는 만큼 자제해서 사용해달라고 당부했다”며 “부득이하게 사용해야 할 경우 반드시 보안성 점검을 받아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고 했다. 개인정보 입력을 자제하고, 기관 내부 접속은 피하라는 내용도 담겼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AI 활용 장려하던 학교도 딥시크 사용 기피
딥시크는 사용자 기기 정보, IP, 키보드 입력 패턴·리듬 등 민감한 개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교육 현장에서 학생·교직원의 학습 행태나 성적 정보 등도 모을 수 있다. 일각에서는 이렇게 수집된 국내 학생들의 데이터가 중국의 AI 학습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하고 있다.
교육 현장에서는 그동안 AI 활용을 장려해 왔다. 서울시교육청이 지난 2023년 발표한 ‘챗GPT에 대한 교원 인식과 사용에 대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한 초·중·고·특수학교 교원과 교육전문직원 5217명 중 88.9%가 ‘챗GPT에 관심있다’고 답했으며, 70.1%는 ‘실제 사용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바 있다.
하지만 보안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딥시크 사용을 기피하는 분위기다. 서울의 한 초등학교 행정직 공무원 A씨(20대)는 “생성형 AI 활용 연수를 받고 챗GPT 유료 구독료도 자기개발비로 지원받았는데, 딥시크는 곧바로 사용 자제 요청이 나온 것을 보니 보안 문제가 심각한 것 같다”고 했다.
서울의 한 초등학교 교사 박모씨는 “일부 교사들이 수업 지도안이나 생활기록부 작성에 AI를 활용하고 있지만, 학생 인적사항을 AI에 입력하는 것 자체를 경계해야 한다”며 “특히 딥시크는 보안 위험이 더 크다고 판단해 사용을 자제하려 한다”고 했다.
“연구·교육, AI 안 쓸 순 없어…주의 당부”
![서울시교육청이 지난 3일 국정원을 통해 받은 '생성형 AI 활용 보안 가이드라인' 공문을 산하 교육기관에 발송한 내용. 사진 서울시교육청 공문](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06/444663fb-54d1-40e5-b0e2-7dab1611bd16.jpg)
서울시교육청이 지난 3일 국정원을 통해 받은 '생성형 AI 활용 보안 가이드라인' 공문을 산하 교육기관에 발송한 내용. 사진 서울시교육청 공문
전날(5일)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와 국방부는 부처 인터넷망을 통한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민감한 정보를 다루는 만큼 별도 지침이 있기까지 딥시크 차단을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환경부도 외부에서 접속 가능한 컴퓨터를 사용할 때 딥시크 접속을 못하도록 유해사이트로 등록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교육·연구기관에서 생성형 AI 사용을 완전히 제한하기는 어렵다”며 “일부 정부기관처럼 딥시크 접속을 전면 차단하는 대신, 개인정보와 민감 정보 입력 시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