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웰푸드는 17일부터 과자와 아이스크림 26종류의 가격을 평균 9.5% 인상한다고 6일 밝혔다. 지난해 6월 빼빼로 등 17종류의 가격을 평균 12% 올린 이후 8개월 만이다.
![지난해 빼빼로데이에 서울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방문객들이 롯데 빼빼로 제품을 살펴보고 있다. 뉴시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06/4bd2e9d0-2c67-400f-a39c-9f3d84ed350c.jpg)
지난해 빼빼로데이에 서울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방문객들이 롯데 빼빼로 제품을 살펴보고 있다. 뉴시스
롯데웰푸드 측은 초콜릿 주 원료인 코코아 시세가 역대 최고 수준으로 오르며 원가 인상 압박을 견뎌내기 어려워졌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최근 원달러 환율이 크게 오르고 물류비와 인건비 부담까지 더해진 상황이라는 것.
미국 뉴욕 국제상업거래소(ICE) 선물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코코아는 지난해 12월 20일 톤(t) 당 1만2565달러로 역대 최고로 치솟았다. 지난 한 해에만 가격이 172% 올랐다. 앞서 오리온도 이런 이유로 지난해 12월 초콜릿 제품 가격을 평균 10.6% 인상했다. 인상률이 과하게 높아지는 투유 같은 제품은 아예 생산 중단 결정을 내렸다.
이처럼 식음료 업체는 지난해 말부터 최근까지 줄줄이 가격 인상에 나서고 있다. 오리온·해태(과자), 동서식품(커피), 농심(생수), 동아오츠카(음료), 대상(소스), 오뚜기(컵밥) 등의 인상률은 적게는 10% 안으로, 많게는 20% 가량이다. 대형 프랜차이즈 업체들도 인상 대열에 합류해 스타벅스와 폴바셋·할리스커피 등 커피 전문점이 200~400원, 버거킹·맘스터치 등 햄버거 브랜드가 100~300원 등 주요 제품 값을 인상했다. 원두가격 폭등에 저가 커피 브랜드 중에서도 컴포즈 커피가 주요 제품 가격을 300원씩 올렸다. 컴포즈 커피는 2014년 브랜드 출시 이후 유지해온 아메리카노 1500원 가격을 이번에 깼다.
![5일 서울의 한 커피 전문점에서 고객들이 커피 원두를 살펴보고 있다. 뉴스1](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06/018c7e48-9b7d-4ab8-b638-e66a68840350.jpg)
5일 서울의 한 커피 전문점에서 고객들이 커피 원두를 살펴보고 있다.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