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과 파도에 전복" 여수 바다 어선 침몰…4명 사망·6명 실종

14명 중 구명뗏목서 외국인 4명 구조

전라남도 여수 하백도 인근 해역에서 대형 트롤어선이 침몰해 4명이 숨지고 6명이 실종됐다.

여수해양경찰서에 따르면 9일 오전 1시 41분쯤 여수시 삼산면 하백도 동쪽 약 17㎞ 해상에서 부산 선적 139t급 대형 트롤 어선 ‘제22 서경호’(승선원 14명)가 갑자기 레이더에서 사라졌다. 이를 발견한 선단 측에서 해경에 신고했다.

9일 오전 전남 여수시 하백도 인근 해상서 14명의 승선원이 탑승한 대형 트롤 어선에서 침몰 추정 사고가 발생했다. 사진은 사고 직후 사고 해역에서 발견된 구명 뗏목의 모습. 연합뉴스

9일 오전 전남 여수시 하백도 인근 해상서 14명의 승선원이 탑승한 대형 트롤 어선에서 침몰 추정 사고가 발생했다. 사진은 사고 직후 사고 해역에서 발견된 구명 뗏목의 모습. 연합뉴스

 
신고를 접수한 여수해경은 경비함정을 현장에 출동해 승선원 8명을 구조했다. 사고 해역 인근에서 함께 조업 중이던 다른 어선들도 함께 구조에 나섰다. 구조된 선원의 국적은 한국인 4명과 외국인(인도네시아인 2명·베트남인 2명) 4명이다. 선장 A씨(66)를 포함한 한국인 선원 4명은 모두 숨졌고, 외국인 4명은 사고 당시 구명 뗏목에 탑승한 상태로 발견됐다. 이들은 저체온증 증세를 보여 고흥군 나로도 소재 축정항으로 옮겨져 병원으로 이송했다.

“높은 파도에 전복돼”…선체 찾기 집중

9일 오전 전남 여수시 하백도 인근 해상서 14명의 승선원이 탑승한 대형 트롤 어선에서 침몰 추정 사고가 발생했다. 사진은 사고 직후 구명 뗏목에 타 구조를 기다리는 선원들의 모습. 연합뉴스

9일 오전 전남 여수시 하백도 인근 해상서 14명의 승선원이 탑승한 대형 트롤 어선에서 침몰 추정 사고가 발생했다. 사진은 사고 직후 구명 뗏목에 타 구조를 기다리는 선원들의 모습. 연합뉴스

구조된 외국인 선원들은 “항해 중 강한 바람과 높은 파도로 인해 선체가 전복됐다”고 진술했다. 다만 해경은 정확한 사고 원인은 조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해경 관계자는 “(실종자) 일부는 아직 선체에 남아있을 것 같다”는 생존 선원의 진술에 따라 선체 안에도 일부 실종 선원이 남아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해경은 경비함정 23척, 항공기 8대, 유관기관 7척, 민간어선 15척 등을 동원, 사고 해역 반경 5㎞를 4개 구획으로 나눠 수색 중이다. 해경은 수색 범위를 넓히기보다는 현 해역에서 다각적 수색 작업을 벌이고 있다. 선체가 해저에 가라앉았을 가능성도 있어 해경은 사이드스캔 소나(Sonar·수중음파탐지기)를 동원해 배의 위치를 찾고 있다. 하지만 현지 기상 상황이 나빠 수색에 어려움이 있는 상황이다.


전남도·여수시, 수색·수습 대책본부

9일 오전 전남 여수시 하백도 인근 해상서 14명의 승선원이 탑승한 대형 트롤 어선에서 침몰 추정 사고가 발생했다. 사진은 사고해역에서 구조된 선원을 이송하는 모습. 연합뉴스

9일 오전 전남 여수시 하백도 인근 해상서 14명의 승선원이 탑승한 대형 트롤 어선에서 침몰 추정 사고가 발생했다. 사진은 사고해역에서 구조된 선원을 이송하는 모습. 연합뉴스

정부와 지자체도 대응에 나섰다. 행정안전부는 대책지원본부를 가동해 전라남도 및 부산시 등과 협업체계를 구축했다. 전남도는 이번 침몰 사고와 관련해 김영록 전남지사를 본부장으로 지역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구성했다. 대책본부는 사고 해역 수색과 구조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여수시도 정기명 시장을 본부장으로 지역 사고수습본부를 차렸다. 전남도와 여수시는 각각 전남 210호, 전남 202호 등 어업지도선을 사고현장으로 보내 실종자 수색과 구조활동을 진행한다. 또 사상자 이송과 응급의료체계를 구축하고 피해자 가족 연락과 지원에도 나설 계획이다.

한편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최근 5년간 해양 사고 10건 중 6건 이상이 어선 사고로 파악됐다. 2019∼2023년 해양 어선 사고는 9602건으로, 전체 해양 사고(1만4802건)의 64.9%에 달했다. 어선 사고로 305명이 숨지고 123명이 실종됐으며, 1593명이 다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