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샤오훙수 게시물. 사진 서경덕 교수 페이스북 캡처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19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최근 중국, 미국에 거주하는 누리꾼의 제보를 받고 샤오훙수를 살펴본 결과 이 같은 게시물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서 교수는 “‘한국은 도둑국’이라는 식의 억지 주장을 펼치고 있었다”며 “그야말로 미국인들에게 세뇌중인데 ‘한국을 믿지 말라’, ‘김치의 원조는 중국’ 같은 내용의 글과 영상이 퍼지고 있어 꽤 심각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서 교수는 “샤오훙수는 지금까지 중국 내에서 주로 이용됐고 사용자도 대부분이 중국인이었지만, 미국 누리꾼이 대거 갈아타면서 자칫 이러한 억측에 세뇌될 우려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한국 문화가 전 세계의 주목을 받다 보니 중국 누리꾼의 심한 열등감에서 비롯한 행위라 볼 수 있다”며 “이처럼 삐뚤어진 중화사상은 중국을 고립국으로 만든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 교수는 “미국 내 ‘틱톡 금지법’이 지난달 행정명령을 통해 유예된 가운데 미국 틱톡 이용객들이 피난처로 중국판 인스타그램인 ‘샤오홍슈’로 몰리고 있다고 한다”며 “샤오홍슈는 중국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소셜미디어 중 하나인데 월간 활성 이용자 수는 약 3억 명에 달한다고 한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일명 ‘틱톡 금지법’이 향후 어떻게 될지 모르는 상황 속에서 미국 누리꾼들은 현재 샤오홍슈로 갈아타는 중”이라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