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월 대통령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가 주최한 비급여 관리 및 실손보험 개혁방안 정책토론회가 진행되고 있다. 뉴스1
2차 개혁안의 핵심 내용은 ▶비급여·실손 체계 개편 ▶지역병원 육성·일차의료 강화 ▶의료사고 안전망 구축 등이다. 이 중 비급여·실손 개편은 비(非)필수과 의사 쏠림 등을 막고 필수의료를 살리려는 의도가 담겼다. 의료사고 안전망 구축은 의사·환자의 의료분쟁을 원만히 해결하기 위한 정책이다.
다음달 6일 공청회…회의도 마무리 수순
한 특위 관계자는 "3월 전에는 의료개혁 2차 방안을 매듭짓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다른 관계자는 "우선 정리되는 내용부터 빠르게 발표하려 한다"고 말했다.

서울 시내의 한 정형외과 모습. 도수치료, 체외충격파 등 비급여 진료를 내세우고 있다. 뉴스1
이날 정부는 진료비 규모가 크거나 갑자기 증가하고, 병·의원별 가격차가 큰 비급여를 중심으로 관리급여 항목을 정하는 위원회를 꾸리겠다는 방안을 내놨다. 관리 대상엔 도수치료·체외충격파 등이 포함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출시 예정인 5세대 실손에선 비중증·비급여 보상을 축소할 계획인데, 중증 질환 부담률 등은 추후 논의할 예정이다. 특위 관계자는 "한 번 더 회의하고 마무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필수과 의료사고 처리 등이 막판 쟁점
앞서 의개특위는 지난해 8월 상급종합병원 구조 전환 등 의료개혁 1차 방안을 발표했다. 대형병원 진료를 중증 질환 위주로 재편하는 시범사업은 이미 진행되고 있다. 전진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전국 47개 상급병원의 병상 수는 2023년 말 대비 8.6% 줄었다. 이번에 2차 방안까지 공개되면 지난해부터 본격화한 의료개혁 작업의 뼈대가 완성되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