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찰로고
20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수사팀은 명씨의 진료기록과 더불어 휴직·복직 신청 시 학교에 제출된 상반된 진료 소견서의 적절성 여부도 조사 중이다. 이에 따라 해당 소견서를 발급한 의사 역시 수사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대전경찰청 전담수사팀은 이날 명씨가 치료받은 진료기록과 관계자 진술, 프로파일링 등을 통해 범행의 배경을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명씨는 범행 당일인 지난 10일 수술을 앞두고 자신의 범행을 시인하며 2018년부터 우울증 치료를 받아왔다고 진술했다. 경찰은 이를 토대로 명씨의 정신질환이 사건에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고 있다.
특히 명씨가 질병 휴직과 복직 당시 제출한 의료 소견서와 관련한 문제점도 함께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명씨는 지난해 12월 2일, 우울증 치료를 이유로 6개월의 질병 휴직을 신청하며 의사 소견서를 학교에 제출했다. 해당 소견서에는 '심각한 우울감과 무력감으로 최소 6개월의 안정적 치료가 필요하다'는 내용이 담겼다.
그러나 명씨는 불과 24일 뒤인 같은 해 12월 26일 같은 병원과 동일한 의사로부터 '증상이 거의 사라져 직무 수행에 문제가 없다'는 내용의 소견서를 받아 조기 복직을 신청했다. 학교 측은 이 소견서를 토대로 명씨의 복직 여부를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러한 '상반된 진료 소견서'는 명씨가 충분한 치료 없이 학교에 복귀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정신질환을 앓는 교사의 치료를 의무화하는 '하늘이법' 제정 필요성의 근거로도 거론되고 있다.
이에 대해 병원 측은 "진단서는 의학적인 판단하에 이뤄진 것으로 잘못된 점이 없다"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수사팀 관계자는 "관련자들 사이에서 휴직을 위한 진단서를 발급했다가 짧은 시간에 정상 근무가 가능하다는 취지의 진단이 가능하냐는 의문이 제기되는 것으로 인지하고 있다"며 "의료기록을 분석한 후 추가적으로 조사할 필요성을 느끼면 의사도 조사 대상에 포함하는 부분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