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한국부동산원이 내놓은 ‘전국 주택가격 동향 조사’ 결과를 보면 이달 셋째 주(1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은 일주일 전과 비교해 0.06% 올랐다. 전주 조사 때(0.02%)보다 상승 폭이 늘었다. 서울 안에서도 강남 3구 아파트의 오름세가 특히 두드러졌다.

서울 송파구에 있는 부동산중개업소에서 한 시민이 매물 정보를 살펴보고 있다. 뉴스1
이 기간 송파 아파트 매매 가격 변동률은 0.14%에서 0.36%로, 0.22%포인트 뛰었다. 수도권 시ㆍ군ㆍ구를 통틀어 상승 폭이 가장 컸다. 강남(0.08→0.27%), 서초(0.11→0.18%) 매매가 상승률도 각각 0.19%포인트, 0.07%포인트 각각 오르며 송파 바로 뒤를 이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로 인한 기대감,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수요가 맞물려 나타난 현상”이라며 “강남 3구를 중심으로 매도가 상승, 매물 감소 등이 동반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12일 서울시는 강남ㆍ송파구 일대 291곳 아파트를 대상으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에서 해제한다고 발표했다. 잠실 대장주로 꼽히는 ‘엘리트(엘스ㆍ리센츠ㆍ트리지움)’, 대치 ‘래미안대치팰리스’ 등에 대한 갭투자(전세를 끼고 매매)가 가능해졌다. 이들 지역은 물론 인근 아파트로의 ‘갈아타기’ 수요까지 다시 살아나면서 강남 집값을 떠받쳤다.
반면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는 전주 대비 0.01% 하락했다. 한 주 전(-0.03%)보단 내림세가 덜하지만 여전히 찬바람이 불었다. 서울 아파트 값(0.06%)만 올랐을 뿐 인천(-0.06%), 경기(-0.04%)는 내렸기 때문이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은 이달 둘째 주 -0.04%에서 셋째 주 -0.03%로 하락 폭이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