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8단체 “경제에 부작용 상법 개정 대신 자본시장법 개정" 호소

지난해 11월 29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주식시장 활성화 TF-경제계 간담회에서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과 이동근 경총 상근부회장 등 경제계 및 기업측 참석자들이 민주당 관계자들의 발언을 경청하고 있다.  이날 간담회는 민주당 주식시장활성화 태스크포스가 소액주주 보호를 위해 추진 중인 상법 개정안과 관련한 재계 의견을 듣기 위해 마련됐다. 뉴스1

지난해 11월 29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주식시장 활성화 TF-경제계 간담회에서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과 이동근 경총 상근부회장 등 경제계 및 기업측 참석자들이 민주당 관계자들의 발언을 경청하고 있다. 이날 간담회는 민주당 주식시장활성화 태스크포스가 소액주주 보호를 위해 추진 중인 상법 개정안과 관련한 재계 의견을 듣기 위해 마련됐다. 뉴스1

   
경제계가 현재 야당이 추진 중인 상법 개정에 대해 다시 한번 철회를 촉구하고, 대안으로 자본시장법 개정을 제안했다.

한국경제인협회, 대한상공회의소, 중소기업중앙회, 한국경영자총협회, 한국무역협회, 한국중견기업연합회, 한국상장회사협의회, 코스닥협회 등 경제 8단체는 23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자본시장법 개정 논의 촉구를 위한 경제계 호소문’을 발표하며 이같이 요청했다.

경제 8단체는 “최근 우리 기업들은 벼랑 끝에 서 있다”며 “주력 산업의 경쟁력이 위축된 가운데 미래를 담보할 신성장 동력 발굴이 부진하고 트럼프발(發) 보호무역주의 확산과 얼어붙는 내수는 기업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이런 일촉즉발의 위기에서 이사의 충실의무 확대, 집중투표제 의무화, 감사위원 분리선임 확대 등 상법을 개정하는 것은 경제와 기업에 심대한 부작용을 초래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상법 개정안은 이사에 대한 소송 남발, 기업의 경영권 위협, 신성장동력 발굴을 위한 투자와 인수합병 위축 등 기업 현장에 큰 혼란을 초래한다”며 “결국 국가 경제는 밸류다운(가치 하락)되고, 그 피해는 국민과 기업 모두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해 11월 29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더불어민주당 주식시장 활성화 TF-경제계 간담회가 열렸다. 이날 간담회는 민주당 주식시장활성화 태스크포스(국장부활 TF)가 소액주주 보호를 위해 추진 중인 상법 개정안과 관련한 재계 의견을 듣기 위해 마련됐다. 뉴스1

지난해 11월 29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더불어민주당 주식시장 활성화 TF-경제계 간담회가 열렸다. 이날 간담회는 민주당 주식시장활성화 태스크포스(국장부활 TF)가 소액주주 보호를 위해 추진 중인 상법 개정안과 관련한 재계 의견을 듣기 위해 마련됐다. 뉴스1

 
경제계는 지난해 11월 ‘한국경제 재도약을 위한 주요 기업 사장단 긴급 성명’을 비롯해 상법 개정이 기업경영 전반에 상당한 차질을 불러올 수 있다고 수차례 호소해 왔다.

이날 이들 단체는 상법 개정이 목표로 내세우는 소수 주주 이익 보호를 위해 자본시장법 개정을 제안했다.

이들은 “경제계는 상법 개정이 기업경영 전반에 상당한 차질을 불러올 수 있다고 호소하며 문제가 되는 부분이 있다면 자본시장법에 핀셋 규제를 도입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며 “기업 경영에 부작용이 큰 상법 개정을 중단하고, 실질적인 주주 권익 제고를 위한 자본시장법 개정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앞서 더불어민주당은 이사회 충실의무 대상을 주주까지 확대하는 내용을 상장·비상장 법인 모두에 적용하는 상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하지만 이러한 개정안이 기업경영 저해한다는 지적이 계속되자 정부는 이러한 의무의 적용 대상을 상장법인으로 좁히는 등 ‘핀셋 규제’를 내용으로 하는 자본시장법 개정 방침을 밝혔다.

이에 따라 국민의힘에선 당 소속 윤한홍 국회 정무위원장이 이러한 내용의 자본시장법 개정안을 발의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