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라 갯벌 위를 날고 있는 도요새 무리의 모습. 오동필씨 제
21일(현지시각) 사이언스에 게재된 서신(Letter) ‘한국의 갯벌을 위태롭게 하는 공항 계획’에 따르면, 저자들은 “만경강 하구의 갯벌인 수라는 세계 최대 규모의 해안 간척 사업에서 살아남은 곳 중 하나로 공항 건설 계획이 이 중요한 피난처를 위협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또 “2025년에서 2029년 사이로 계획된 이 공항이 완공되면 수라 갯벌의 생물 다양성에 돌이킬 수 없는 손실을 가져올 것”이라며 “한국 정부는 철저하고 독립적인 타당성 및 환경 영향 검토가 될 때까지 공항 건설을 중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서신에는 박태진 베이 지역 환경연구소 연구원과 최영래 미 플로리다국제대학교 부교수, 조류학자인 나일 무어스 박사 등 국내외 연구자들이 참여했다.
“새만금 마지막 생태 피난처…철새 이주 문제”
서신을 쓴 이들은 수라 갯벌이 59종의 국가 법정 보호종과 27종의 국제적 멸종위기종에게 서식처를 제공하는 등 높은 생태적 가치가 있다고 강조했다. 유네스코는 2021년에 ‘한국의 갯벌’을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했는데, 수라 갯벌은 이 지역으로부터 불과 7㎞가량 떨어져 있다.
주저자인 박태진 연구원은 중앙일보와 인터뷰에서 “수라는 새만금에 마지막으로 남은 생태적 피난처”라며 “공항이 건설되면 단순히 한국의 갯벌 생태계만 파괴될 뿐 아니라 시베리아에서 호주로 이주하는 철새 생태계에도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조류 충돌 위험 높아 “갯벌 지키는 게 합리적”

수라 갯벌 상공에서 전투기와 민물가마우지 무리가 충돌하기 직전의 모습. 오동필씨 제공
새만금신공항백지화공동행동 등 환경단체들도 “정부 공식 보고서에도 새만금신공항이 19년~84년마다 한 번꼴로 치명적인 조류 충돌 사고가 일어날 것으로 예측된다”며 공항 건설에 반대하고 있다.
최영래 교수는 “예정지에서 불과 1.3㎞ 떨어진 군산공항이 지속적인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새로운 공항의 필요성 자체가 의문스럽다”며 “수라 갯벌을 온전히 지키는 것이야말로 전북 발전에 가장 합리적이며 회복적인 선택일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