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대 한국인은 지금보다 탄수화물을 훨씬 많이 먹었는데, 왜 더 날씬하고 요즘 같은 만성질환이 없었을까요?
지난 3일 만난 이의철 LG에너지솔루션 기술연구원 부속의원 원장은 “과거보다 지금 탄수화물을 훨씬 적게 먹는데도 만성질환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면, 탄수화물을 적게 먹는 게 건강에 도움이 되는지 의문을 제기하는 건 상식”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다이어트를 위한 ‘저탄수화물’ 식단이 각광받는 요즘, 이 원장은 탄수화물이 현대인의 만성질환과 비만의 주범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지난 50년 동안 무엇이 우리 몸을 이토록 망가뜨렸을까. 
지난 3일 이의철 LG에너지솔루션 기술연구원 부속의원 원장이 중앙일보 VOICE팀과 인터뷰하고 있다. 이 원장은 책〈조금씩, 천천히 자연식물식〉〈기후미식〉 등을 펴내며 건강하고 올바른 식습관 형성 및 지속가능한 지구 환경을 고려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을 꾸준히 밝혀 왔다.
특히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같은 만성질환은 감기만큼 흔해졌지만, 사람들은 이에 대해 큰 위기감을 못 느낀다. 뇌경색, 암도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일로 여긴다. 과연 과거에도 한국인은 이런 문제를 지금처럼 당연하게 여겼을까. 이 원장이 주목한 건 멀지 않은 과거, 50년 전 한국인의 식생활과 생활습관이다. 그땐 지금과 달리 뭘 먹고, 어떻게 생활했을까. 이 원장은 서구 국가들과 전혀 다른 양상으로 전개된 한국만의 독특한 ‘역학적 전환(Epidemiologic Transition)’에 주목했다. 수십 년 동안 진행된 한국의 변화 속에 전 세계 만성질환의 해답이 숨겨져 있다고 했다.
이 원장은 “요즘 학부모들의 큰 관심사인 자녀 조기 초경과 급격한 키 성장 역시 역학적 전환에서 비롯된 문제”라며 “단순 처방이 아닌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했다. 성장클리닉, 성 조숙 클리닉을 찾아 주사를 맞고, 약을 타서 먹는 게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란 의미다. 그가 제시한 해법은 뭘까. 그는 “조기 초경과 키 성장이 만성질환, 암 발생률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인터뷰에서 탄수화물이 왜 비만과 만성질환의 원흉으로 지목돼 억울한 ‘누명’을 뒤집어썼는지, 정확한 ‘탄수화물’의 개념은 무엇이고 왜 대중에게 오도(汚塗)됐는지, 올바른 탄수화물 섭취법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 수십 년에 걸쳐 바뀐 한국인의 ‘밥상’을 역추적해 상세히 풀어냈다.
만성질환의 해답, 50년간의 한국인 ‘밥상’에 있다
한국의 ‘역학적 전환’에 주목했다.

그래픽 조은재

그래픽 조은재
이런 역학적 전환이 한국인의 만성질환 양상에 시사하는 바는.
약 50년간 고지혈증·당뇨·고혈압은 얼마나 늘었나.
혈압이나 혈당은 그렇지 않았다. 1980년대 국민건강영양조사 1차 조사 당시 전문가 의견으론 당뇨 유병률이 약 0.9% 정도 내외로 파악됐다. 근데 현재 당뇨병 유병률은 약 16%다. 18배 정도 증가했다.
고혈압은 어느 정도 늘었나.
조기 초경 증가도 앞서 말한 역학적 전환에 해당하나.
(계속)
또 한국은 키에 대한 집착이 너무 강해서 키를 크게 하기 위해 뭐든지 다 합니다.
우유와 고기도 더 먹입니다. 근데 그게 오히려 내 아이의 성인기 암 발생 위험을 높이는 식습관으로 이어진다고 합니다.
“급격하게 키가 클수록 암에 걸릴 가능성이 커진다” 전세계 연구에서 일관되게 관찰되는 현상이라는데요.
20년 사이 크론병 발생률도 크게 늘었습니다.
왜 이런 현상이 벌어졌을까요.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3765
우유 마시면 뼈 튼튼해진다? “더 부러진다” 충격적 진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392
과일 갈 때는 이걸 넣어라, 당뇨 피하는 1:1:1 법칙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0578
“노인들 영양제 의미 없다” 노년내과 의사 욕 먹을 소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95725
“탄단지 갖춰봤자 죽은 음식” 해독 전문가 찍은 염증 주범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86843
정보원과 ‘깊은 연애’를 했다…20년 국정원 요원 고백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69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