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의 한 아파트 신축 현장. 연합뉴스
내년 수도권 아파트 신축 입주 물량이 7만 가구 이하로 떨어지며 최근 10년 내 최저치를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25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내년도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은 6만9642가구로 올해(11만3465가구) 대비 40% 가까이 줄어든다.
수도권 입주 물량이 10만 가구 밑으로 떨어지는 것은 2015년(9만2640가구) 이후 10년 만이다.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10년간 수도권의 연평균 입주 물량이 14만4977가구에 달한 것과 비교하면, 내년 입주 물량은 평균의 절반에 못 미친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의 경우 올해 입주 물량이 3만1300가구로 예상되나 내년 7768가구로 급감할 전망이다.
경기도는 6만1838가구에서 4만9035가구로, 인천은 2만327가구에서 1만2839가구로 각각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내년 수도권 입주 물량이 감소하는 이유는 2022년 인허가 물량(14만415가구)이 평균을 밑돌았기 때문이다. 여기에 공사비 인상, 시공사와의 갈등 등으로 공사가 일시 중단되거나 늦춰지는 사례가 잇따랐다.
다만 입주 물량 부족 현상은 2027년 이후에는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통상 인허가 물량이 3~4년의 시차를 두고 입주 물량에 영향을 미치는데 수도권 인허가 물량은 2022년 바닥을 치고 급격히 회복해 2023년 18만2266가구, 2024년 21만2776가구로 늘어났다.
분양업계에선 내년까지 신축 아파트의 입주 물량이 감소하면서 일시적으로 희소성이 더 부각될 것으로 예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