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제주에서 처음 발견된 아열대성 곤충 제주박각시살이고치벌.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최근 5년(2020~2024)간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아열대성 곤충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신종·미기록종 아열대성 곤충의 발견 비율이 늘어나고 있다고 25일 밝혔다. 신종은 전 세계에서, 미기록종은 국내에서 처음 발견된 종을 말한다.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진의 분석 결과, 처음 발견된 아열대성 지역 곤충은 2020년 17종에서 지난해 38종으로 두 배 이상으로 늘었다. 신종·미기록종 곤충 중에 아열대성 지역 곤충의 비율도 ▶2020년 4% ▶2021년 4.4% ▶2022년 5% ▶2023년 6.5% ▶2024년 10.2%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오세아니아 사는 파리 제주서 발견

지난해 제주에서 처음 발견된 아열대성 곤충 부세티털보버섯파리.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곤충은 온도 변화에 매우 민감하고 이동성이 강해 환경에 따른 분포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생물이다. 연구진은 “한반도로 북상한 종들이 아열대와 온대의 경계 지역인 제주도에서 주로 발견되고 있다는 사실은 기후변화의 영향 때문으로 해석된다”고 했다.
안능호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사는 “기후변화의 관문 역할을 하는 제주에서 기록되지 않은 아열대 곤충 발견이 늘어난 건 기후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는 실질적인 증거”라고 말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2006년부터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 사업에 따라 한반도 곤충에 대한 포괄적인 조사를 수행 중이며, 2020년부터는 우리나라에서 새롭게 발견된 신종·미기록종 곤충 중 아열대성 곤충의 비율을 분석하고 있다. 서민환 국립생물자원관장은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곤충의 신규종 발굴뿐만 아니라 아열대성 곤충의 출현 상황 등도 지속적으로 관찰해 향후 관련 정책 마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