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맨발에 입을 맞추는 가짜 영상. 사진 SNS 캡처
머스크가 미국 트럼프 정부에서 연방정부 구조조정을 주도하는 가운데 연방 정부 부처의 건물 TV에 트럼프 대통령이 머스크의 발에 키스하는 가짜 영상이 한때 노출됐다고 뉴욕타임스(NYT) 등 미국 언론이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영상은 인공지능(AI)으로 생성한 듯 머스크의 양발이 모두 왼발 모양을 하고 있다.
자막에 쓰인 “진짜 왕이여, 영원하라”는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했던 문구다. 앞서 트럼프는 19일 뉴욕시 맨해튼의 ‘혼잡 통행료’를 폐지하겠다고 밝힌 뒤 트루스소셜에 “혼잡통행료는 죽었다. 맨해튼과 뉴욕 전체가 구원받았다”며 “왕이여 영원하라!(Long live the king!)”라고 썼다. 이를 영상에 삽입함으로써 ‘진짜 왕’은 트럼프 대통령이 아닌 머스크라고 조롱한 셈이다.
이 영상은 머스크가 주도하는 정부효율부가 22일 연방정부 공무원들에게 ‘지난주 업무 성과를 대략 5가지로 정리해 답장을 보내라’는 이메일을 보낸 지 이틀 뒤에 벌어졌다. 머스크는 이메일에 답장을 보내지 않으면 사임으로 간주하겠다고 경고한 바 있다.
HUD를 포함해 기관들은 인력을 줄이라는 지시를 받았으며 일부는 50% 이상 감축을 예상해야 한다는 언질을 받았다고 NBC 뉴스는 보도했다.
이 영상은 일부 민주당 공식 계정을 비롯해 소셜미디어(SNS)상에서 공유됐다.

트럼프 대통령이 머스크의 발에 입을 맞추는 모습이 담긴 가짜 영상으로 미국 워싱턴DC 주택도시개발부 내부에 있는 TV모니터에서 재생되는 모습. 엑스(X·옛 트위터) 캡처
이번 소동은 HUD 관리팀이 TV 모니터의 플러그를 뽑으면서 마무리됐다. 한 직원은 “직원들은 이 영상을 많은 기쁨을 가져다준 저항의 표시로 여겼다”고 말했다. 또 다른 직원도 “모두가 그 영상에 관해 이야기하며 웃었다”고 전했다.
HUD는 대변인 명의 성명을 통해 “관련된 사람에 대해 적절한 조치가 취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 대선 승리의 일등 공신인 머스크는 트럼프 정부에서 정부 지출 감축 등을 주도하며 광범위한 권한을 행사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사실상 ‘공동 대통령’이란 평가까지 받고 있다.
시사 주간지 타임은 최근 표지사진에 머스크가 대통령 집무실(오벌오피스)의 대통령 책상인 ‘결단의 책상’ 뒤에 앉아 있는 일러스트를 게재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