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정상회담 후 공동 기자회견을 하기 위해 연단 앞에 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뒤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지나가고 있다. EPA=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머스크가 연방정부 공무원들에게 이메일로 24일 밤까지 업무 성과를 보고할 것을 요구하고 이에 응하지 않을 경우 해고 방침을 알린 데 대해 “천재적” “창의적 아이디어”라고 호평했다. 이어 “‘지난주에 무슨 일을 했느냐’는 질문은 실제로 일을 하느냐고 묻는 것이다. 답변하지 않는다면 해고될 것”이라며 “우리는 지금까지 수천억 달러의 사기를 발견했다. 이제 시작”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국무부ㆍ국방부ㆍ국가정보국(DNI)ㆍ연방수사국(FBI) 등 외교안보 부처와 정보기관 수장이 머스크 이메일에 답변하지 말라고 한 것을 우려하느냐는 질문에는 “아니다. 기밀 사안이 있는 곳에서는 그럴 수 있지만 그렇다고 그들이 머스크와 싸우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고 했다. 머스크는 지난 22일 인사관리처(OPM)를 통해 정부 공무원 230만여 명에게 보낸 ‘지난주에 무엇을 했습니까’라는 제목의 이메일을 통해 지난주에 한 업무 내용을 5개로 요약 정리해 24일 밤 11시 59분까지 답변할 것을 지시했다. 답변을 회신하지 않으면 사임하는 것으로 간주하겠다고도 했다.
공무원 노조 “머스크, 절차 안 지켜” 소송
메릴랜드 연방지방법원이 24일 미 교육부와 인사관리처의 민감한 정보에 대해 머스크가 이끄는 정보효율부(DOGE) 팀의 접근을 2주간 금지하는 결정을 내린 일도 있었다.
이런 기류 때문인지 인사관리처는 사태 수습을 시도하는 모습을 보였다. 인사관리처는 “오늘 회의에서 각 기관에 (업무 보고를 위한) 이메일 회신을 하는 것은 자발적인 것이라고 통지했다”면서 “이메일에 응답하지 않는 것이 사직과 동일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말했다고 더힐 등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재신임을 확인한 머스크는 뜻을 굽히지 않았다. 머스크는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엑스(Xㆍ옛 트위터) 계정 글을 통해 “이메일로 보낸 요청은 아주 간단한 것이었다. 몇 글자만 입력한 뒤 보내기 버튼을 누르면 통과하는 것이었다”며 “하지만 많은 이들이 이런 의미 없는 테스트조차 통과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의 재량권에 따라 한 번 더 기회가 주어질 것이다. 두 번째(요구)에도 답변하지 않으면 해고될 것”이라고 했다.
업무 성과 보고 이메일 회신을 둘러싼 정부 기관 간 혼선을 두고 뉴욕타임스(NYT)는 익명의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내각 일부 장관과 기관장들 사이에서 머스크가 자신의 조직을 간섭한 것에 대한 분노가 커졌다”고 보도하며 “머스크가 관료 조직을 압박하는 과정에서 한계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짚었다. 이에 대해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 지시에 따라 모두가 하나의 통합된 팀으로 일하고 있다”며 “그와 반대되는 얘기는 완전히 거짓”이라고 부인했다.
‘머스크 발 키스 트럼프’ 가짜영상 등장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이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맨발에 입을 맞추는 듯한 모습의 가짜 영상. 사진 SNS 캡처
이 영상은 인공지능(AI)이 만든 딥 페이크(가짜 합성 이미지)였다고 미 언론은 분석했다. 영상을 본 공무원들은 유쾌한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머스크가 이끄는 정부효율부가 연방정부 공무원을 대규모로 구조조정하며 논란이 커지는 상황에서 정부 부처 건물에 노출된 이 영상은 소셜미디어를 타고 금세 확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