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회생 준비 시점 집중 추궁

김광일 홈플러스 대표이사 겸 MBK 부회장이 18일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에 대한 현안 질의에서 의원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뉴스1
국회에 나온 금정호 신영증권 사장과 김기범 한국기업평가 대표는 MBK가 사전에 신용등급 하락을 알고 있을 것이라고 했다. 금 사장은 “(채권) 발행업체와 신용평가사는 계속 교류를 할 수밖에 없다”며 “등급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면 등급 유지를 위해 어떤 것이 필요하다는 등 그런 이야기들이 오갔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등급이 떨어진 직후 기업회생 절차를 신청한다는 것 자체가 이해가 안 된다”고 덧붙였다. 김 대표도 ‘홈플러스가 신용등급 하락을 예상할 수 있었던 것 아니냐’는 질의에 “내부적으로는 예측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18일 서울 시내 한 홈플러스 점포의 모습. 뉴스1
MBK 등 사모펀드의 인수 방식도 이날 현안질의에서 문제가 됐다. MBK가 홈플러스를 인수할 때 LBO 방식을 썼는데, 부실을 키운 주요인이란 지적이 나왔다. 아직 인수하지 않은 회사 자산을 담보로 일으킨 대출을 인수자금으로 활용하는 방법이 LBO다. 업황이 나빠지면 빚 상환을 떠안은 피인수기업의 재무상태가 악화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 때문에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자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최근 여러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는 만큼 살펴보고, 외국 제도를 확인해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복현 금감원장도 LBO와 관련해 “심각하게 보고 있다”며 “지금은 증권사와 신용평가사만 검사 중인데 검사를 (MBK까지) 확대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검사·조사를 매우 엄하게 하겠다”고 밝혔다.
여야 의원들은 김병주 MBK 회장의 사재 출연 규모에 대해서도 추궁했지만 구체적 답변이 나오지 않았다.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진정성이 있으려면 적어도 1조5000억에서 2조원 정도는 출연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한홍 정무위원장도 “김 회장이 사재를 출연하겠다고 했는데 어떻게 얼마만큼 사태를 수습하겠다는 답이 오늘 나와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복현 “삼부토건, 김건희·원희룡 연관 없어”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에 대한 현안 질의에서 답변하고 있다. 뉴스1
삼부토건과 우크라이나 포럼에 동행한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에 대해서도 이 원장은 “삼부토건과 연관이 없다”며 “정치 테마주라고 해서 해당 정치인이 관여한 것은 아니지 않으냐. 사실관계를 확인 중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삼부토건은 2023년 5월 폴란드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글로벌 재건 포럼에 참석한 뒤 1000원대였던 주가가 그해 7월 5500원까지 치솟으면서 주가조작 의혹이 불거졌다.
이 원장은 또 ‘삼부토건 사건을 언제쯤 마무리해서 검찰에 넘길 예정이냐’는 질의에 “제 임기가 6월 초까지인데 제가 있을 때 최대한 처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삼부토건 사건을) 저희가 지금 들고 있는 사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증인으로 채택된 김병주 MBK 회장은 홍콩 출장 등을 이유로 현안 질의에 참석하지 않았다. 이에 대한 거센 질타가 이어졌다. 김 회장을 고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고, 김 회장이 출석할 때까지 정무위 전체회의를 열거나, 김 회장에 대한 청문회를 여는 방안까지 논의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