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6월 평양에서 정상회담을 한 뒤 서명한 조약을 들어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그러면서 “2주 전 북한을 방문했을 때 이 문제를 포함한 논의를 했다”며 “북한과의 전략적 대화를 계속하기 위해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의 방북에 대해서도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루덴코 차관은 지난 15일 평양에서 최선희 북한 외무상을 만나고 김정규 외무성 부상과 회담했다.
러시아는 김 위원장의 방러를 추진해왔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해 6월 평양에서 열린 북·러 정상회담 당시 김 위원장에게 “모스크바 답방을 기다리겠다”고 말한 뒤다. 러시아 측이 원하는 시기는 오는 5월 9일 열리는 제2차 세계대전 승리 80주년 열병식이다. 지난 24일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올해 전승절 열병식에 김 위원장이 참석하느냐는 질문에 “외교 채널을 통해 합의될 것”이라고 답했다. 지난해 말 방북한 안드레이 벨로소우프 러시아 국방장관은 전승절 열병식에 북한군을 초청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21일 방북한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서기와 회담하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마체고라 대사는 미·러 접촉 재개를 북한이 크게 반겼다고 전했다. 그는 “평양은 전임 미국 행정부때 중단됐던 러시아와 미국의 접촉이 재개된 것에 매우 긍정적으로 반응했다”며 “그들은 이 과정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선의와 연결하는 게 아니라 우리 국가(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서 서방 연합군과 맞서 이뤄낸 성공과 연결시켰다”고 말했다.
하지만 북미 대화 재개 가능성에 대해선 회의적인 시각을 나타냈다. 마체고라 대사는 “북한이 비핵화 협상에 참여할 것이란 징후는 전혀 없을 것이라고 확신한다”며 “미국과 지역 동맹국들의 도발적 행동 때문에 대화 시작 가능성은 점점 더 불확실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러시아의 중재 가능성에 대해서도 “북한 지도부는 중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있다”며 선을 그었다.
다만 “북미 사이에는 여러 가지 직접적인 소통 채널이 있다”며 “여기서 대화 재개를 결정하면 이 채널 중 하나가 다시 활성화돼 메시지가 수신자(북한)에게 전달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