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충격에 수출 여건 악화" KDI, 4개월 연속 '경기 하방' 언급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지난 1월 이후 4개월 연속 '경기 하강'을 경고하고 나섰다. 생산과 소비가 함께 둔화하는 가운데 미국의 관세 인상으로 통상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수출 여건도 급격히 악화했다는 분석이다.

부산항 신선대부두와 감만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 뉴스1

부산항 신선대부두와 감만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 뉴스1

KDI는 7일 발간한 경제동향 4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대외 여건이 급격히 악화하며 경기 하방 압력이 확대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핵심 근거는 생산 증가세 둔화다. KDI는 2월 전 산업생산이 전년 동월 대비 1.2% 늘며 증가세로 전환했지만, 이는 조업일수 확대에 따른 것이라고 봤다. 조업일수 영향을 보정하면 건설업(-21.7%)은 큰 폭으로 감소했고, 광공업(1.0%)과 서비스업(0.1%)도 낮은 증가세를 보이며 산업 전반에서 생산이 둔화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1~2월 평균 소매판매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 감소했다. 승용차(10.4%) 등 내구재(2.0%) 소비는 반등했지만, 준내구재(-4.0%)와 비내구재(-1.4%) 소비는 부진했다. 3월 소비자심리지수 또한 93.4로 기준치(100)를 하회했다. KDI 관계자는 “개별소비세 인하 효과로 승용차 소비는 늘었지만, 전반적으로 소비 심리가 위축된 가운데 부진이 지속하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버팀목 역할을 하던 수출도 불안하다. 3월 수출은 전월(0.7%)보다 높은 3.1%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일평균 기준으로도 5.5% 증가하면서 1∼2월의 저조했던 흐름을 어느 정도 만회했다. 하지만 1분기 전체로 보면 2.1% 감소했다. 이런 가운데 4월 2일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방침으로 수출 여건이 더욱 악화했다는 게 KDI의 판단이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7일 대외관계장관간담회를 주재하며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주요국의 대응 동향과 전략을 점검했다. 최 부총리는 “통상 리스크 대응 등 긴급 현안에 대응하는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위해 국회와 긴밀히 소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