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민과 관광객들이 부산 중구 자갈치시장 노점에서 생선과 해산물을 살펴보고 있다. 송봉근 기자
215곳 중 입주신청 2곳… 추첨 무산
새 건물엔 선어ㆍ어패류ㆍ건어물 등 기존 상인이 파는 물품 특성에 맞는 구역이 갖춰져 있다. 입점을 원하는 상인 신청을 먼저 받은 뒤 추첨을 진행하려고 했다. 하지만 기존 노점상인 215명 가운데 2명만 입점을 신청하면서 추첨 자체가 무산됐다.
수십만원대 사용료ㆍ시설 미비에 입점 갈등

부산 중구 자갈치시장 전경. 사진 부산시
자갈치시장 일대 차도를 넓히는 등 2003년부터 추진된 현대화 정비도 이들 노점 탓에 제한적으로만 이뤄졌다. 이에 부산시는 노점상인과 협의해 기존에 점유하던 노상 공간을 비우는 대신 이들이 입주할 수 있는 새 건물을 짓기로 했다.
건물 2개 동은 지난해 모두 완공됐다. 하지만 오는 6월 새 건물에서의 개장을 목표로 입주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상인과 부산시 간 갈등이 본격화했다.
자갈치아지매시장 상인회와 부산시의 말을 종합하면 주요 쟁점은 ▷건물 사용료 부담(한달 19만~46만원) ▷해수관의 약한 수압 ▷화장실 부족 ▷옥상 냉동창고와 점포 간 화물 엘리베이터 미비 등 4가지다. 특히 사용료의 경우 같은 면적의 점포를 쓰더라도 준공업 지역인 1동보다 상업 지역인 2동 점포의 비용이 1.9배 높아 상인 불만이 크다.
“강제집행ㆍ몸싸움 난 노량진 시장처럼 될라”
2016년 새 건물이 지어졌지만, 기존 상인 600여명 가운데 상당수가 매대 공간이 좁고 편의성이 떨어진다는 점 등을 문제 삼으며 입점을 거부했다. 수협이 이들 노점의 ‘불법 점유’를 근거로 법적 대응에 나서면서 2018년부터는 강제집행을 통해 노점을 철거하려는 수협과 이를 막아서는 상인 간 몸싸움 등 격렬한 물리적 충돌도 벌어졌다. 이로 인한 문제는 2020년까지 일부 이어졌다.
개장ㆍ도로확장 지연… 부산시 “최대한 조율”
다만 부산시는 “행정대집행 등 강제적 수단은 검토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새 건물을 지어 노점을 입주시키는 계획은 처음부터 (행정대집행 등) 충돌을 피하기 위한 것이었다”며 “상인회를 창구로 해 상인들과 소통하고 있다. 추경을 통해 화물 엘리베이터 등 시설을 보강하고, 두 건물의 사용료 차이 등 문제를 조율하는 방안도 협의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