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대선출마 여부 묻자 "노코멘트, 아직 결정 안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9일 서울 강북구 국립 4·19민주묘지에서 열린 제65주년 4·19 혁명 기념식에서 헌화 및 분향을 위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9일 서울 강북구 국립 4·19민주묘지에서 열린 제65주년 4·19 혁명 기념식에서 헌화 및 분향을 위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20일(현지시간) “미국의 관세 부과에 맞대응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대선 출마 여부를 묻는 질문엔 “아직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고 답했다. “출마를 고려하고 있느냐”는 이어진 질문엔 “말씀드릴게 없다(No comment)”고 답했다. 

한 대행은 이날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이 지금과 같은 모습을 갖추는 데는 미국의 역할이 컸다”며 미국과 협상을 통해 관세 문제를 풀어나가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한국전쟁으로 인한 파괴 이후 미국은 한국에 원조, 기술 이전, 투자, 안보 보장을 제공했다”면서 “이로 인해 한국은 외국인에게 매우 편안한 투자 환경을 만들 수 있었다”고 부연했다. 이어 “우리는 반격하기보다 양측 모두에게 이로운(win-win) 해결책을 찾을 것”이라고 했다.

지난 8일 성사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통화에 대해선 “좋았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한국이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와 민간 여객기 구매를 포함해 무역흑자 감축 방안을 논의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또 해군 군함 건조 협력 확대는 한미 동맹 강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이날 비관세 무역 장벽에 대한 논의할 의향도 있다고 했다. FT는 미국의 오랜 불만 사항으로 한국의 자동차 배기가스 규제, 의약품 가격, 30개월 이상 연령의 미국산 소고기 및 소시지와 같은 가공 소고기 제품 수입금지, 그리고 넷플릭스와 같은 미국 콘텐트 제공업체의 네트워크 수수료 등을 예로 들었다.

한 대행은 협상 결과로 일부 산업이 “어느 정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점을 인정했지만, 두 나라 간 무역의 광범위한 자유화가 “한국 국민의 복지를 증진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방위비 분담금 협상 재개 여부에 대해 한 대행은 “현재로서는 안보 문제를 논의할 명확한 틀이 없다”고 말했다. FT는 한 대행이 “사안의 성격에 따라” 주한미군 방위비 협정을 다시 논의할 의사가 있음을 시사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총리실은 이날 “우리 정부는 방위비분담특별협정을 충실히 이행해나가고 있다”며 “현재로서는 방위비 분담 관련 어떠한 협상 제안도 없으며 어떤 검토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향후 협상에서 미국이 한국에 주한미군 등 방위비 분담금 증액을 요구할 가능성이 더욱 커진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일 한 대행과의 통화에서도 ‘원스톱 쇼핑’을 언급하며 패키지 딜 가능성을 내비쳤다.

한편 한미는 이번 주 미 워싱턴에서 재무·통상장관 ‘2+2 통상협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번 협의는 미국 측의 제안에 의해 이루어지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