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미국만'이라는 문구가 적힌 모자를 쓰고 손을 흔들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해방의 날'(4월 2일 상호관세 발표일) 선포 이후 많은 세계 지도자와 기업 경영자들이 관세 완화를 요청하러 나를 찾아왔다"면서 "우리가 진지하다는 점을 세계가 알고 있다는 건 좋은 일이다. 우리는 진지하기 때문"이라고 적었다.
이어 그는 "그들은 수십 년간의 (미국에 대한) 부당 행위를 바로잡아야 한다. 그러나 그들에게 쉽지 않을 것"이라면서 "우리는 위대한 우리나라의 부를 재건하고 진정한 상호주의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가장 쉬운 길을 원하는 이들에게 할 말은 '미국으로 오라, 그리고 미국에 (생산시설을) 건설하라'이다"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별도의 트루스소셜 게시물에서 미국을 상대로 취해졌다고 주장한 8가지 '비관세 부정행위' 항목을 구체적으로 열거했다.
그는 첫 번째로 통화 조작(환율조작)을 언급했고 관세와 수출 보조금 효과를 갖는 부가가치세, 원가 이하의 덤핑, 직접적인 수출 보조금 및 정부 보조금 등을 포함시켰다.
또한 자국 산업 보호를 명분으로 삼은 농업 기준 및 기술 기준도 비관세 장벽의 일환으로 제시하며, EU의 유전자 변형 옥수수(GMO) 수입 금지와 일본의 볼링공 테스트를 각각 사례로 들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위조, 해적판, 도용 등 지식재산권(IP) 침해 문제로 인해 미국이 연간 1조 달러(약 1424조원)의 손해를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관세 회피를 위한 환적(Transshipping) 역시 비관세 장벽 중 하나로 지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