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디스플레이 차량용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의 모습. 사진 LG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차량용 스트레처블 공개

LG디스플레이 차량용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제품. 사진 LG디스플레이
차량용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는 평평한 화면을 필요에 따라 특정 부분만 볼록하게 튀어나오게 해 터치형 버튼처럼 구현해냈다. 기존에는 운전 중 디스플레이를 주시하지 않으면 정확한 터치 지점을 파악하기 어려웠지만, 터치형 버튼이 튀어나와 있으니 운전자가 촉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차량 실내 천장에 돌돌 말아 숨길 수 있는 ‘슬라이더블 OLED’ 등 새로운 차량용 디스플레이도 선보일 예정이다. LG디스플레이는 영하 40도 혹한부터 영상 85도 초고온까지 극한 환경에서도 작동할 수 있는 신뢰성과 내구성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삼성 ‘올해의 디스플레이 상’ 수상

LEAD™ 기술 구조도. 사진 삼성디스플레이
무편광판 기술은 기존 OLED 패널에 필수적으로 적용되던 플라스틱 소재 편광판의 기능을 패널 내부에 내재화한 ‘온 셀 필름’(OCF)으로 구현했다. 2021년에 삼성디스플레이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뒤 현재 ‘LEAD™’라는 브랜드명으로 폴더블 스마트폰 등에 활용되고 있다.
SID 측은 “불투명한 플라스틱 시트인 편광판을 대체하는 OCF 기술을 통해 휘도(화면 밝기)를 개선하고 야외 시인성을 높이면서, 패널 두께도 20% 더 얇게 만들었다”고 소개했다.
차세대 OLED, 한국 기업들 주도
특히 액정표시장치(LCD)보다 전력 소모가 적은 OLED는 에너지 효율이 중요한 인공지능(AI) 기기를 비롯해 전기차·자율주행차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특히, 차량용 OLED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40% 이상의 고속 성장이 전망된다. 차량 안전 규격을 통과해야 하는 만큼 오랜 양산 경험과 기술력을 갖춘 국내 기업들이 중국보다 경쟁 우위에 있다는 평가다.
업계 관계자는 “애플의 폴더블폰 출시 등 앞으로 고사양 OLED 패널의 수요가 더욱 늘어날 것”이라며 “차세대 OLED 시장이 빠르게 성장할수록 국내 기업들이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