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가 최근 잇따라 할인 행사를 진행하는 가운데, 야간 연장 영업에도 나서기로 했다. 저가 공세로 커피 시장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공격적인 대응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스타벅스가 이달 중순까지 전체 매장의 80%에서 영업 시간을 오후 10시까지로 확대한다고 11일 밝혔다. 사진 스타벅스
스타벅스의 운영 시간은 원래 오전 7시부터 오후 10~11시경였다가, 코로나19를 계기로 단축 영업이 이뤄졌다. 현재는 매장별 폐점 시간이 오후 7~8시 또는 오후 10시로 제각각이다. 스타벅스 관계자는 “수요와 경영 상황 등을 고려해 일부 몰 입점 매장 등을 제외한 80%의 운영 시간을 일괄적으로 오후 10시까지로 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스타벅스는 커피 이용 고객이 조금 더 커피를 원할 경우 한 잔의 커피를 60% 할인된 가격에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도록 '원 모어 커피' 이벤트를 운영하고 있다. 사진 스타벅스
“가성비도 잡는다”
스타벅스는 최근 이례적인 대규모 할인 행사도 잇따라 선보이고 있다. 같은 날 재구매 시 일부 메뉴를 60%를 할인해주는 ‘원 모어 커피’가 대표적이다. 오늘의 커피 톨 사이즈(4500원)의 두 번째 잔은 1800원에 먹을 수 있다. 개인 컵을 이용하면 400원을 추가로 할인받을 수 있어 저가 브랜드 아메리카노(1500~2500원)와 비교했을 때 경쟁력이 있다는 평가다.
이 이벤트는 당초 일부 회원 중심으로만 진행하다 호응이 좋자 지난달 23일부터 전 고객 대상으로 서비스를 확대했다. 오후 5시 이후 디카페인 커피나 카페인 프리 음료를 주문하면 최대 반값(케이크와 함께 주문 시)으로 할인해주는 ‘이브닝 이벤트’도 있다. 스타벅스의 변신은 이뿐 아니다. 지난해 자사 애플리케이션(앱)을 넘어 배달앱 배달의민족에 입점했고, 최근 쿠팡이츠와도 협업한 배달 서비스를 시작했다.
“변해야 생존”
반면 메가MGC커피나 컴포즈커피 등 저가 브랜드 실적은 무섭게 신장 중이다. 지난해 메가커피를 운영하는 앤하우스의 매출은 전년보다 26.5% 늘어난 4960억원으로 매출액 기준 스타벅스, 투썸플레이스 이어 3위를 기록했다. 영업이익률(21.7%)은 스타벅스를 뛰어넘었다. 업계 관계자는 "스타벅스의 매출 신장이나 점포 확장 모두 안정기에 이르렀다는 것이 업계의 시각"이라면서 "이런 이유로 스타벅스가 저가 커피 브랜드들과의 본격적인 경쟁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