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백악관 루즈벨트룸 기자 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중국과의 무역 관계의 완전한 재설정(total reset)”이라며 시진핑(習近平) 중국 주석과 이번 주말 통화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백악관에서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중국은 모든 비금전적 장벽을 중단하고 제거할 것이고 이에 동의했다”며 “이에 대한 문서화가 필요하지만, 그 회의(제네바 장관급 무역 협상)에서 나온 가장 중요한 것은 중국이 이에 동의했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미·중 양국은 이틀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고위급 무역 회담을 진행한 뒤 발표한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성명에 따르면 향후 90일간 미국은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145%에서 30%로 낮추고, 중국은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125%에서 10%로 인하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회견에서 이같은 합의안을 재확인 하면서도 “(미국이 중국에)이미 부과한 관세는 포함되지 않는다”며 “또한 자동차·철강·알루미늄에 부과된 관세와 의약품에 부과될 수 있는 관세도 포함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품목들은 미국이 각국에 대해 부과하기로 한 상호관세와 별도로 부과한 품목관세를 뜻한다. 또 중국에 비해 20%포인트 높은 미국의 관세는 중국이 펜타닐(좀비마약) 원료를 공급한다는 이유로 부과한 관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백악관 루즈벨트룸 기자 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관련 “그들은 이(펜타닐 원료 공급)를 중단하기로 동의했고, 그들은 수백억 달러의 관세를 내지 않아도 되는 보상을 받을 것”이라며 “따라서 중국은 펜타닐 공급을 중단하면 큰 인센티브가 있을 것이며, 그들이 약속한 대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양국이 합의에 이르게 된 배경과 관련 “중국은 매우 심각한 타격을 입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중국은 공장을 폐쇄했고 많은 혼란이 있었다”며 “(이번 합의를 통해)우리와 협력할 수 있게 돼 매우 기뻐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미·중 관계는 매우 좋고 우리는 중국을 해치려 하지 않는다”며 “나는 시진핑 주석과 이번 주말에 통화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