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금 연휴가 시작된 지난 1일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면세구역이 여행객들로 붐비고 있다. 뉴스1
국내 결제 건수는 되레 줄어
하지만 국내 음식점·카페·편의점·백화점·대형마트·주유·놀이공원 업종의 결제 이용 건수는 2.1%, 이용 회원 수는 2.3% 각각 감소했다. 지난 6일 대체공휴일까지 더해지면서 2일(금) 하루만 연차를 내면 최장 6일의 연휴가 주어졌는데 카드를 쓰는 사람은 되레 줄었다는 뜻이다.
업종별로 보면 마트(-2.6%), 편의점(-1.8%), 주유(-1.5%), 백화점(-0.3%) 등에서 이용 금액이 줄었다. 놀이공원 카드 결제액은 31.9% 증가했는데 이는 올해와 달리 지난해 어린이날에 비가 내렸던 영향으로 풀이된다.
반면 지난 1~6일 해외 신용‧체크카드 결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5% 증가했다. 이용 건수는 20.1%, 이용 회원 수는 13.7% 늘었다. 연휴 기간 해외로 나간 사람도, 쓴 돈도 모두 늘었다는 뜻이다. 결제액 증가율로 보면 해외(17.5%)가 국내(3.1%)의 5.6배에 달했다. 신한카드 관계자는 “높은 물가와 고환율에도 불구하고 연휴 기간 해외여행 수요가 두드러졌다”고 설명했다.
임시공휴일 때마다 결제액 감소
국군의날 임시공휴일과 개천절‧한글날이 있었던 지난해 10월에도 소매판매는 전월보다 0.7% 감소했다. 통계청 나우캐스트에 따르면 임시공휴일이 포함된 1월 24~31일 신용카드 사용액은 전주보다 33.9% 줄었고, 지난해 9월 27일~10월 4일은 20.8% 감소했다. 직장인이 환호한 황금연휴 때마다 소상공인은 울상을 지었다는 풀이가 나온다.
허경옥 성신여대 소비자산업학과 교수는 “미디어와 SNS의 영향으로 해외여행 모습을 일상처럼 볼 수 있다 보니 소비자 생활에서도 해외여행을 쉽게 생각하고 습관처럼 가게 됐다”며 “그러다 보니 휴일이 길면 국내에서 돈을 쓰는 대신 해외로 나가는 경향이 늘었다. 임시공휴일 지정은 내수에 악영향”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