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 대응’, 국내 다잡기, 조선 싱크탱크…韓·美 조선 윈윈 해법은

지난달 30일 한화오션 거제조선소를 방문한 존 펠란 미국 해군성 장관(왼쪽 세 번째)이 김동관 한화 부회장(왼쪽 네 번째)과 군함을 배경으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한화오션 제공

지난달 30일 한화오션 거제조선소를 방문한 존 펠란 미국 해군성 장관(왼쪽 세 번째)이 김동관 한화 부회장(왼쪽 네 번째)과 군함을 배경으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한화오션 제공

군함·상선 등 배의 특성별로 맞춤형 수주 전략을 짜고, 국내 조선 산업 기반을 다지고, 전문 싱크탱크(정책연구소)를 만들고…

미국 트럼프 정부가 추진하는 조선 산업 재건을 국내 조선 산업의 발전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19일 류민철 한국해양대 교수에게 의뢰해 펴낸 ‘미국 조선산업 분석 및 한미 협력에서의 시사점’ 보고서에서 한·미 양국이 조선 산업에서 ‘윈-윈(win-win)’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했다.

한경협은 보고서에서 미국 의회가 지난 4월 발의한 조선 및 항만 인프라 법(SHIPS for America Act)에 따라 미국 국적 전략 상선단을 250척까지 늘리고, 2047년까지 액화천연가스(LNG) 수출 화물의 15%를 미국에서 건조한 선박으로 운송하도록 규정한 점에 주목했다. 보고서는 미국 정부가 조선산업 재건 정책으로 2037년까지 상선, LNG 운반선, 해군 군함 등을 포함해 최소 403척, 최대 448척의 선박을 발주할 것으로 예측했다. 그러면서 우리 정부와 조선업계가 이런 흐름을 한국 조선산업의 발전 기회로 삼기 위해 분야별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맞춤형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예를 들어 LNG 운반선은 미국이 단기간에 자국에서 만들기 어렵다. 따라서 중장기 관점에서 현지화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노려야 한다는 것이다. 미 해군 함정의 경우 (첨단 무기체계와 관련 있는 만큼) 유지보수(MRO)와 신조(新造)를 이른 시일 내에 한국에 맡길 가능성은 작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MRO 분야에서 ▶선체 보수작업 위주 작업으로 신뢰를 쌓은 뒤 ▶선체 개·보수로 수주 범위를 확대하고 ▶장기적으로는 무기 체계를 포함한 MRO로 진출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해군 함정 신조 분야에선 첨단 군함보다 수송·지원함과 상륙함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봤다. 군함 수출 역량을 키우려면 군함 무기 및 전투체계를 고도화하는 등 자체 경쟁력부터 높여야 한다. 중대형 액체수소 운반선, 무인 자율운항 선박 등 차세대 선박 관련 첨단 기술을 연구하고 사업화하기 위해 한·미 공동 기금을 마련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내 조선 산업 기반을 다지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미국 조선소를 인수할 경우 가뜩이나 부족한 국내 조선 인력의 유출이 가속할 수 있어서다. 단기적으로 미국에 건조 경험이 없는 LNG 운반선, 쇄빙선 등 일정 물량부터 국내에서 건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미국 조선소에 국내 조선업계 은퇴자를 재고용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

보고서는 또 조선산업 연구소(가칭)를 세워 외교·통상·산업·에너지·물류·금융 등을 통합해 아우르는 조선산업 육성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류민철 교수는 “미국 정부의 정책 기조 변화 가능성에 따른 사업 리스크(위험)를 면밀하게 점검하고, 미국의 지원 정책이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양국이 지속해서 협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