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시장 "블록체인 산업에 1200억 투입, 마포·개포에 집적단지 만들 것"

박원순 시장이 4일 오전(현지시간) 스위스 주크시청에서 5개년 블록체인 도시 서울 추진계획을 발표, 서울을 세계적 블록체인의 도시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서울시]

박원순 시장이 4일 오전(현지시간) 스위스 주크시청에서 5개년 블록체인 도시 서울 추진계획을 발표, 서울을 세계적 블록체인의 도시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서울시]

서울시가 블록체인(block chain) 기업 200여곳이 입주할 수 있는 ‘집적단지’를 서울 개포와 마포에 조성한다. 특히 2021년까지 개포 디지털혁신파크 내에 국내 최대 규모의 ‘서울 글로벌 블록체인 센터’를 설립한다.

유럽순방 중인 박원순 서울시장은 3일 오전(현지 기준) 스위스 주크 시청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블록체인 도시 서울 추진 계획(2018~2022)’를 발표했다. 서울시가 블록체인 산업발전을 위한 마스터플랜을 내놓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블록체인은 모든 거래내역을 투명하게 기록하고 해당 내역을 여러 컴퓨터에 복제해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이다. 컴퓨터 여러 대가 기록을 공유·대조하기 때문에 위·변조가 불가능하다.

이날 발표에는 향후 5년간 관련 예산 1233억원을 투입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블록체인 기술 도입 초기 단계인만큼 예산을 집중 투자해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집적 단지는 개포 디지털 혁신파크와 마포 서울창업허브 두 곳에 조성된다. 개포 디지털혁신파크 내에 들어서는 글로벌 블록체인 센터는 지하 2층~지상 5층 규모로 2021년까지 신축할 계획이다. 센터에는 국내외 120개 기업이 입주해 국내 블록체인 연구개발을 선도해 나갈 방침이다.

전문 인재도 양성한다. 2022년까지 금융·소프트웨어 등 블록체인 관련 분야의 실무·창업 인재를 4년간 760명 신규 양성할 계획이다. 시 예산과 별도로 2022년까지 1000억원 규모의 ‘블록체인 서울 펀드’도 민간과 공동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활용해 기술은 개발했지만 사업화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벤처 기업에 최대 10억원까지 지원한다.  

서울시는 기업들이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검증할 수 있도록 시의 행정서비스를 테스트베드로 제공하고 전문가로 구성된 ‘블록체인 정책자문단’을 운영해 실행력도 높일 계획이다. 내년부터 ‘서울 블록체인 산업발전 협의체’도 가동한다. 박 시장은 “블록체인은 사회전반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혁신적인 기술”이라며 “과감한 지원을 통해 서울시를 세계적인 블록체인 도시로 성장·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박형수 기자 hspark97@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