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턴 경질에 청와대 “얘기할 사안 아니다”지만, 기대감 상승

기자
권호 기자 사진 권호 기자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오른쪽)과 존 볼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7월 24일 청와대 접견실에서 대화하고 있는 모습. 청와대 사진기자단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오른쪽)과 존 볼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7월 24일 청와대 접견실에서 대화하고 있는 모습. 청와대 사진기자단

미국 외교의 수퍼 매파인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물러났다. “막혀 있던 북·미 관계의 양상이 바뀔 것”이라는 전망이 많은 가운데, 청와대 고민정 대변인은 11일 “볼턴 경질에 대해서 우리 정부가 얘기할 사안은 아닌 것 같다”는 입장만 내놨다.

다른 나라 정상의 인사와 관련한 공개적인 언급은 자제하는 게 일반적이다. 청와대도 공개적인 입장 표명이나 발언은 조심스러워한다. 하지만 청와대 내부 기류는 환영에 가깝다. 볼턴이라는 존재가 미국 강경파를 상징했기 때문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연유야 어떻든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안보 핵심 참모가 바뀌었으니, 관련 국면에도 변화가 생길 거라고 보는 게 자연스러울 것”이라고 말했다. 볼턴은 ‘선(先) 핵 폐기-후(後) 보상’으로 상징되는 리비아식 해법을 줄곧 주창해왔다. 대북 빅딜론을 주장해 하노이 정상회담을 무산시킨 장본인이기도 하다.

이미 북한의 외교 실세인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이 9일 담화를 내고 “9월 하순경 합의되는 시간과 장소에서 미국 측과 마주 앉아 지금까지 논의해온 문제들을 포괄적으로 토의할 용의가 있다”는 입장을 밝힌 상태에서, 북·미 대화가 탄력일 붙을 수 있다는 의미다. 문재인 대통령의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도 힘이 받을 수 있다. 청와대는 그간 올 하반기 문 대통령의 해외 일정을 소극적으로 잡는 등 혹시 모를 변수에 대비해왔다.

청와대 일각에선 볼턴이 강경파이긴 하지만,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과 비교적 소통이 잘 되는 카운터파트였다는 점에서 아쉽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미 간의 호흡이 중요한데, 누가 볼턴 후임이 되든 새 인물과 처음부터 신뢰를 다시 구축하는 ‘네트워크 구축 비용’이 들 거란 의미에서다. 

권호 기자 gnomo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