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2일 미국 뉴저지 주의 한 상점 점원이 전자담배를 정리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미국 정부가 액상형 전자담배 판매 금지 계획을 발표하자 지난달 20일 사용자제를 권고했다. [로이터 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10/14/0d617258-664e-432f-b274-7c09a7dcd530.jpg)
지난달 12일 미국 뉴저지 주의 한 상점 점원이 전자담배를 정리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미국 정부가 액상형 전자담배 판매 금지 계획을 발표하자 지난달 20일 사용자제를 권고했다. [로이터 연합뉴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미국 내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과 관련해 중증폐질환 사례가 증가되고 있다고 발표함에 따라 보건복지부는 지난달 20일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 자제를 권고하고, 관련 가능성이 있는 폐질환 사례를 질병관리본부에 보고하도록 의료인 안내문을 배포했다.
질본에 따르면 중증 폐질환 의심 환자로 보고된 A씨는 액상형 전자담배 흡연자로 호흡기 이상증상(기침, 호흡곤란, 가슴통증) 등 중증폐질환 의심 증상이 나타나 최근 병원을 찾았다. A씨를 진료한 의료진이 의심 환자로 진단하고 질병관리본부에 보고했다. 고재영 질병관리본부 위기소통담당관은 “현재 폐질환 증상과 액상형 전자담배 흡연이 관련이 있는지 연관성을 조사하는 단계”라고 설명했다.
미국 CDC에 따르면 미 전역에서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에 따른 것으로 추정되는 중증 폐질환 환자가 1299명(8일 기준) 발생했고, 이 중 26명이 숨졌다. 호흡기 증상(기침, 호흡곤란, 가슴통증)을 호소하며 일부는 소화기 계통 이상증세(메스꺼움, 구토, 설사) 및 기타 증상(피로감, 발열, 체중감소)을 보였다.
미국 정부는 지난달 11일 과일향 등이 첨가된 가향 액상형 전자담배의 판매를 금지하기로 했다. 내년 5월 재심사 전까지 제한적인 조치다. 하지만 복지부는 지난달 20일 사용 자제 권고만 내리고 의료기관에 액상형 전자담배로 인한 중증 폐질환 사례가 나오면 즉시 질병관리본부에 보고토록 했다. 국내 환자 모니터링과 외국 추가 조치 등을 검토한 뒤 판매 중지ㆍ제품 회수 등의 강제 조치 여부를 결정한다는 입장이다.
이에스더 기자 etoile@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