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 더중플 - VOICE: 세상을 말하다
똑같은 사주팔자라도 이름에 따른 운명의 변화는 항상 존재한다.
국내 사주명리학·성명학의 권위자로 불리는 김동완 동국대 겸임교수는 “사주명리학·성명학은 개인의 미래를 족집게처럼 맞추는 ‘점’이 아니다”고 강조한다. 그는 “(사주명리·성명학은) 개인이 어떻게 하면 행복하게 희망을 갖고 살 수 있는지 알려주는 일종의 ‘상담(相談)’의 학문”이라며 “직업 적성이나 성격 분석의 틀로 학문·체계 안에서 활용돼야 한다”고 했다. 김 교수는 배우 이병헌, 개그맨 신동엽·유재석을 비롯해 최근엔 LG 트윈스 장현식 투수, 방송인 붐 등 유명인들의 자녀 이름을 지어주기도 했다. tvN ‘유퀴즈’, KBS ‘쌤과 함께’를 비롯해 여러 방송에서 이름과 운명의 관계에 대해 꾸준히 강의를 해왔다. 그가 전한 사주팔자의 구성 원리는 뭘까. 또 동양철학의 근간을 이루는 음양오행의 원리는 작명 과정에서 실제로 어떻게 적용될까.
비슷한 오행(五行)이라도 개인의 노력에 따라 성격은 달라질 수 있다.
김동완 교수는 “연·월·일·시라는 사주(四柱)에 새겨진 여덟 글자(팔자·八字) 속 오행(五行)에는 개인의 성향과 운명을 가늠할 단서가 들어 있다”고 했다. 다만 김 교수는 “오행 분석은 부족하거나 강하게 드러나는 성정(性情)을 찾는 데 그치는 게 아닌, 자기 삶의 이해와 성장을 위해 부족한 부분을 채워 넣는 도구로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개인 의지와 주변 환경도 한 인간의 운명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했다. 
지난 1월 김동완 동국대 겸임교수가 중앙일보 VOICE팀과 인터뷰하고 있다.
이름에 못 쓰는 불용문자는…
이름에 쓰면 안 되는 한자가 따로 있나.
‘큰 대(大)’자, ‘클 태(泰)’ 자는 왕만 쓰거나 장남, 첫째가 쓰는 글자였다. 둘째, 셋째는 쓰면 안 되는 글자였다. 그런 글자를 둘째, 셋째가 쓰면 큰아들이 출세하지 못하고 둘째가 모든 걸 다 가져간다는 얘기도 있었다. ‘가운데 중(中)’ 자 등도 둘째가 써야 했는데, 요즘은 둘 낳는 집이 거의 없기 때문에 큰 의미가 없지 않을까 싶다.

그래픽 신다은
‘구속 받으면 부러진다’ 목(木)의 기질은
목(木)의 기질은.

그래픽 신다은
유명인 중 목(木)의 사주가 많은 사람은.

그래픽 신다은
갑목(甲木) vs 을목(乙木), 목(木)이 넘치는 성격은
목(木)이 과하면 어떤 기질이 드러나나.
목(木)은 갑목(甲木)과 을목(乙木)으로 나뉜다.

그래픽 신다은
전두환·박정희·윤석열, 사주 공통점은
금(金) 기질의 특성은.

그래픽 신다은
금(金)의 기질도 자세히 나눠보면 경금(庚金)과 신금(辛金)으로 나뉜다고 한다. 경금과 신금의 기질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다를까. 김 교수는 “금(金)의 기질은 토(土)와 상반된다”라며 “김영삼 전 대통령, 반기문 전 UN사무총장 등이 토(土)의 기질이 강하다”고 말했다. 이런 토(土)의 기질도 무토(戊土)와 기토(己土)로 나뉜다는데, 어떤 특성이 있을까. 인터뷰에선 목(木)과 금(金)외에 토(土)·화(火)·수(水)의 기질의 특성은 무엇인지, 어떤 이들이 해당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봤다.
이름과 성격에 대한 모든 것
※더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url을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좋은 이름? 올해엔 최악이다…“을사년엔 이 한자 절대 금지”〈상〉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7997
“부모 말 절대 안 듣는 사주다” 박정희·전두환·윤석열 공통점〈하〉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9688
좋은 이름? 올해엔 최악이다…“을사년엔 이 한자 절대 금지”〈상〉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7997
“부모 말 절대 안 듣는 사주다” 박정희·전두환·윤석열 공통점〈하〉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9688
VOICE: 세상을 말하다 - 더 다양한 내용을 더중앙플러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ID, 특전사에 몰살될 뻔했다…40년 만에 깐 ‘간첩 X파일’ 〈1편〉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7048
계엄 투입된 前 HID 요원 20명…“진짜 무서운 건 그들의 임무” 〈2편〉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8677
1억 준다더니 “쏴 죽여버린다”…北인공기 휘날린 공포 입대식 〈3편〉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0414
“北 목함지뢰, 맞불 보복하라”…노상원 ‘HID 폭사 지시’ 전말 〈4편〉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2172
“HID 훈련 본 국회의원 기절” 원빈 ‘아저씨’ 그 사건, 실화였다 〈5편〉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4029
‘신내림’ 한국의 4대 저주술…욕해도 무속 찾는 이유 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97595
동양서 유독 기독교 퍼진 나라…한국의 비밀은 고인돌에 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99444
“성형해서라도 이건 만들라” 주역 대가의 복 부르는 관상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51355
여자는 귀걸이 하고 다녀라…돈 잘 버는 사장님의 비밀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53013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7048
계엄 투입된 前 HID 요원 20명…“진짜 무서운 건 그들의 임무” 〈2편〉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8677
1억 준다더니 “쏴 죽여버린다”…北인공기 휘날린 공포 입대식 〈3편〉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0414
“北 목함지뢰, 맞불 보복하라”…노상원 ‘HID 폭사 지시’ 전말 〈4편〉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2172
“HID 훈련 본 국회의원 기절” 원빈 ‘아저씨’ 그 사건, 실화였다 〈5편〉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4029
‘신내림’ 한국의 4대 저주술…욕해도 무속 찾는 이유 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97595
동양서 유독 기독교 퍼진 나라…한국의 비밀은 고인돌에 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99444
“성형해서라도 이건 만들라” 주역 대가의 복 부르는 관상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51355
여자는 귀걸이 하고 다녀라…돈 잘 버는 사장님의 비밀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53013